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발전소 ‘금지 유해물질’ 방류 만연…정부, 전국 77곳 전수조사
[헤럴드경제] 결국 정부가 칼을 빼들었다. 전국의 화력ㆍ원자력발전소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가 2011년부터 작년 7월까지 5년간 유해물질인 디메틸폴리실록산 500t을 냉각수에 섞어 바다에 버린 사실이 적발돼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다른 발전소들도 같은 혐의가 포착됐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국내 화력발전소 53기, 원자력발전소 24기, 친환경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하는 복합발전소를 대상으로 유해물질 배출 여부 조사에 전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부는 정부 차원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 사용 중단을 지시한 지난해 8월 이후 각 발전소가 계속 사용했는지 여부를 비롯해 이전에 같은 물질을 사용한 내역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냉각수를 바다에 버릴 때 나오는 물거품을 없애는 화학물질로 인체에 노출되면 호흡기를 손상시키고 태아의 생식 능력까지 해치는 독극물이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은 해양환경관리법상 유해물질로 분류돼 있지만 해양수산부가 구체적 용량 제한 규정을 만들지 않아 사용 업체를 처벌할 근거가 미흡했다. 바닷가에 위치한 전국의 발전소들은 이런 핑계로 5년 넘게 이 물질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다 해경이 단속에 나선 작년 8월 이후에야 사용을 멈췄다.

해경은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이 2011년부터 약 5년 동안 500t가량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을 45억t의 온배수에 섞어 배출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도 2014년 상반기까지 디메틸폴리실록산이 함유된 소포제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 영흥화력도 2015년 7월까지 매년 200t 가량의 같은 계열의 소포제를 사용했고 부산에 있는 감천화력발전소는 1980년대 발전소 설립 당시부터 매년 100t 가량의 디메틸폴리실록산 소포제를 2015년 5월까지 사용했다.

이밖에 한국남동발전 삼천포본부는 2015년 10월까지 연간 66t의 디메틸폴리실록산 소포제를,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도 2014년 이전까지 같은 계열의 제품을 써왔다.

해경 관계자는 “발전소가 냉각수 배출 과정에서 유해물질을 사용한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에 공정이 같은 다른 발전소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면서 “이 수사를 통해 유해물질 사용이 만연했었는지, 혹은 특정 발전소의 문제였는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