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불도저’ 교육부가 야기한 이대 사태
“고교 졸업자들이 우선 취업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이후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하자.”, “가정 형편 상 어쩔 수 없이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중년 여성들에게 기회를 제공하자.”

취지는 좋았다. 이번에 학내 분규를 넘어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른 이화여대 ‘미래라이프 대학(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 이하 평단사업)’ 설립 문제가 그것이다. 고등교육의 과잉 현상을 해소해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의지는 충분하지만 상황이 뒷받침해주지 못하던 사람들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평단사업의 의도엔 대다수의 사람들이 찬성할 것이다.

문제는 방법이다. 최경희 총장을 비롯한 이화여대 학교측은 미래라이프 대학 설립 과정에서 학생과 교수 등 내부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채 일을 강행했다. 그리고 결과는 재학생 및 졸업생의 본관 점거 농성과 같은 최악의 학내 분규로 이어졌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학교측이 이처럼 ‘100m 달리기’하듯 뛸 수 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가 있었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바로 ‘돈줄’을 쥐고 있는 교육부 때문이란 것이다.

최근 교육부는 ‘백년대계’ 교육정책을 마치 군사작전 펼치듯 몰아붙이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평단사업의 경우, 이화여대는 지난달 15일에야 사업 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오는 2017학년도 1학기부터 제도를 전면 시행하기 위해선 9월부터 신입생 모집을 시작해야하니 준비 시간은 고작 2개월에 불과했던 것이다.

과정을 거치며 천천히 가기보단 우선 결과부터 내보자는 심리가 작동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최 총장 역시 지난 3일 본관 점거 농성측과의 대화에서 “양해해줄 것이 (평단사업 등) 이런 사업의 경우 기간이 정해져 있어 많은 시간을 내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했는데 그러하지 못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교육부의 불도저식 사업이 문제가 된 것은 이번 뿐만이 아니다.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프라임 사업)’과 ‘인문역량강화 사업(코어 사업)’으로 예산을 주겠다고 하자 대학마다 학과 통ㆍ폐합과 학과 신설을 서두르며 학내 갈등이 극대화 된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다. 급히 먹은 밥은 체하기 마련이다. 신동윤

사회섹션 사회팀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