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르포] 빼곡한 ‘빌라공화국’…광주시 오포읍 난개발 몸살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빌라 유입은 꾸준했지만 최근 전세난 이슈에 서울 외곽과 인근 경기도에서 수요가 몰려 활황세를 이뤘습니다. 다만 난개발이 심해지면서 주거만족도가 떨어지고 교통난도 심해졌죠.” (광주시 W공인 관계자)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오포터널을 지나면 빌라 밀집지역이 눈에 들어온다. 능평교차로를 지나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으로 넘어가는 도로 곳곳, 도로에 인접한 부지에는 어김없이 다세대ㆍ연립주택이 서 있다.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이 난개발로 몸살을 겪고 있다. 다세대주택 난립으로 ‘빌라공화국’이라는 오명까지 붙었다. 주택이 급증하는 사이, 좁은 구(舊)도로는 그대로여서 출퇴근 시간마다 주차장을 방불케 하는 정체도 이어진다.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이 신축빌라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빈 공간은 수익을 위해 건물이 맞닿을 정도로 빼곡하게 들어섰다.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이사를 온 이들의 기대는 우려로 바뀌었다. 빌라 공급과잉 논란에 거주만족도와 미래가치가 떨어져서다.  [사진=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민원은 쇄도했다. 광주시는 뒤늦게 교통대책을 세우겠다고 나섰지만, 토지보상과 맞물린 예산 문제로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오포읍 비활성 지역에 시범 적용하는 ‘성장관리방안’도 마찬가지다. 무분별한 개발을 막자는 것이 골자지만 ‘뒷북정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전세난과 초저금리 기조를 등에 업고 신축빌라 건설은 꾸준했다. 빌라촌이 형성되던 초기에는 넓은 면적과 세련된 평형으로 실수요자 반응이 좋았다. 분양가도 낮아 진입장벽도 낮았다. 싸고 살기 좋다는 입소문에 수요가 잇따랐다. 인구 증가와 빌라 밀집도가 높아지면서 기대는 우려로 바뀌었다. 입주자들은 집값 하락과 미래가치 하락에 대한 걱정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몇 해 전 오포읍 신축빌라로 터를 옮긴 김 모(48)씨는 “차량정체가 심해 출퇴근이 힘들고, 빌라가 과도하게 많아지다 보니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사라졌다”며 “갚아야 할 대출 금액을 생각하면 나가고 싶어도 못 나갈 판”이라고 토로했다.

실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광주시에서 인허가를 받은 빌라주택은 2만3300가구에 달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 다세대ㆍ연립 인허가 물량이 18만7000가구라는 점을 고려하면 10% 이상이 광주시에 집중된 셈이다.

광주시에 공급된 빌라의 44%는 오포읍에서 건축허가를 받았다. 물량으로만 따지면 1만 가구 이상이다. 지난해 말까지 사용승인을 받은 가구는 7700가구 수준이다. 현재 2400가구가 공사를 시작했거나 착공 예정이다. 신현리에 들어설 아파트 2000가구를 합하면 공급과잉 논란은 하반기 이후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신축빌라가 늘고 인구유입이 꾸준했지만, 오포읍 인프라는 부족하다. 특히 교육환경이 열악하다. 일부 학부모는 자녀를 인근 분당이나 판교로 보낸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뒤늦게 팔을 걷어붙인 모양새지만 현장에서는 “뒷북정책의 전형”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사진=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광주시의 한 공인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집주인을 찾은 빌라들이 많았지만, 봄부터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면서 “신축빌라가 많아져 공실이 늘면서 일부 사업자들은 예정된 후속 건물도 미루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진입장벽, 즉 분양가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오포읍 전용 55㎡ 빌라가 1억7000만원 선, 전용 60㎡의 복층 연립주택은 2억원에 불과하다. 주도로 외곽에 지어진 빌라 시세는 조금 더 낮다. 적은 가격 부담으로 인구 유입은 꾸준했다. 광주시 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광주시 인구는 2004년 20만5212명에서 올해 7월 31만8546명으로 10만명 이상이 늘었다.

가구 수는 빌라 건립이 본격화된 2010년 이후 크게 늘었다. 2010년 9만6584가구에서 2011년 10만 가구를 넘어 현재 12만7025가구에 달한다.

이 가운데 오포읍은 인구는 올해 9만명을 넘어섰다. 2010년 말(5만8376명)의 두 배 수준이다. 가구 수는 3만6055가구다. 7월 기준 2만1512가구를 기록한 송정동을 웃도는 수치로 광주시에서 가장 큰 규모다.

인구와 가구 수는 증가 추세지만, 주거만족도는 열악하다. 건축허가가 쉽고 부가시설이 불필요한 빌라의 특성상 주민들이 누릴 수 있는 시설물과 공간이 부족해서다. 공원ㆍ쉼터는 물론 초등학교와 유치원 등 교육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의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자녀를 인근 분당, 판교로 보내는 학부모도 있다. 광주하남교육지원청이 계획한 교육시설은 2018년에나 문을 연다. 당분간 학부모와 자녀의 불편은 불가피할 것이란 의미다.

출장소를 늘리고 사업팀을 신설하는 등 광주시의 발걸음도 빨라졌지만, 주거만족도 개선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아직 없어서다. 인근 한 공인 관계자는 “빌라를 지을 때는 별다른 규제를 하지 않고 기반시설 확충에는 한정된 지방재정 탓으로 돌리는 것은 지자체의 실책”이라며 “수요 예측이 힘들더라도 입주민을 위해 지금부터라도 교통ㆍ교육ㆍ환경 등 주민 편의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