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순례 “식당용 물티슈, 유해물질 관리 사각지대”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국회 국정감사에서 식당용 물티슈가 가습기 살균제 성분 등 유해물질 관리의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나왔다. 일반 물티슈와 식당용 물티슈를 관리하는 부처가 달라 어떤 화학 물질이 들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순례 새누리당 의원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가습기 살균제 등 유해물질이 함유된 물티슈가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며 식약처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물티슈와 식당용 물티슈의 관리 주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건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유아용 물티슈에서도 해당 물질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론(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론(MIT)이 검출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대규모 리콜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물티슈 주무 부처는 기술표준원에서 식약처로 바뀌었다. 식약처의 화장품 관리기준에 따라 앞으로 물티슈에 가습기 살균제 물질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게 식약처의 입장이다.

하지만 김 의원은 ”식당용 물티슈는 어른, 아이 모두 많이 사용하지만 여전히 관리 사각지대”라고 강조했다. 식당용 물티슈는 일반 물티슈와 달리 식약처가 아닌 보건복지부의 ‘공중위생관리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어 식중독균 등 세균 검사만 할 뿐 어떤 화학물질이 얼마나 들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업계 관계자는 “식당용 물티슈의 제조업체는 대부분 중소 업체”라며 “가습기 살균제 등 저렴한 유해 화학물질들이 일반 물티슈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고 말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지난 7월 얼음정수기 니켈 검출 논란 당시 식약처는 “해당 관할부처인 기술표준원의 공식조사와 입장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부처 이기주의’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에 김 의원은 “식당용 물티슈 문제 역시 무책임을 넘어 부처 이기주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 건강을 생각한다면 식약처에서 선제적으로 보건복지부와 협의해서 규제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연말까지 관리 체계를 식약처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을 요청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