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친박퇴진ㆍ개각철회 or 정계개편…새누리發 ‘정치권 빅뱅’ 분수령
[헤럴드경제=이슬기ㆍ유은수 기자] 오는 4일로 예정된 새누리당 의원총회가 정국의 양상을 뒤흔들 ‘핵’으로 떠올랐다. 의총에서 이정현 대표 등 친박(親박근혜)계 지도부가 총사퇴를 받아들이면, 정국 수습을 위한 여야 협상의 물꼬도 함께 트일 공산이 크다. 이미 야권은 유일한 대화 상대로 비박(非박근혜)계를 지목한 상태다. 반면 친박계 지도부가 총사퇴를 거부한다면 최악의 경우 비박계의 분당(分黨)ㆍ탈당(脫黨) 사태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누리당 발(發) 정계개편의 시작이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순실 사태 진상규명과 국정 정상화를 위한 새누리당 국회의원 모임(진정모)'을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3일 정치권에 따르면 내일 의총에서는 ▷친박계 지도부 총사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개각 철회요구가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친박계 지도부는 국정운영 파트너의 지위도, 대야 협상의 영향력도 상실했다”는 것이 비박계 주장의 골자다. 비박계 핵심중진(5선)인 정병국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박 대통령의 일방적 총리지명으로 지도부가 물러나야 할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다”며 “청와대와 소통은 고사하고 무시를 당하고 있을뿐더러, 야당도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했다.

“최순실 사태를 야기한 박 대통령의 ‘군주적 불통 리더십’이 2일 개각에서도 나타났는데, 친박계 지도부가 이를 환영하고 옹호한 것은 국민을 우롱하고 야권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행위”는 이야기다. 개각이 여당 지도부 퇴진 요구에 기름을 부은 격이다.

실제 야권에서는 새누리당 친박계를 제외한 비박계와 손잡고 정국 수습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공연히 나온다.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에서 “친박을 제외한 모든 정치세력을 하나로 묶어내자”며 “거국내각구성을 위한 원탁회의를 가동하자”고 했다. 비박계가 “최순실 사태 진상 규명을 위한 별도 특검도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제안하는 등 야권과의 협상 가능성을 꾸준히 조율해 온 결과다. 여의도 정치권에서 친박계가 사실상 고립되기 시작한 형국이다.

문제는 친박계 지도부가 사퇴를 거부하는 경우다. 비박계에 ‘청와대의 여의도 출장소로 머물 수 없다’, ‘국정운영 중단을 막아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한 가운데 분당ㆍ탈당 등 극단적 대응이 나올 수 있다. 당 소장파 모임 간사인 오신환 의원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의 사퇴 거부 시) 추가 행동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며 “의총 결과를 보고 (수위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비박계 나경원 의원도 탈당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어떻게 돌파하느냐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