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주당, “최순실이 챙기려 한 내년 예산 5200억원…新정경유착 차단법 발의”
[헤럴드경제=김상수ㆍ장필수 기자]더불어민주당이 내년도 예산안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예산’이 520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경제위기 속에도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 등은 40% 이상 급증했고, 부실한 사업계획서에 하루만에 승인이 떨어진 편법 편성도 상당수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이를 ‘신(新)전경유착’으로 규정, 그 대안으로 지정기부금단체 관련 권한을 정부에서 시민공익위원회로 이양하는 법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윤호중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3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에서 지금까지 밝혀진 ‘최순실표’ 예산은 52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혓다. 미르ㆍK스포츠재단의 공적개발원조 예산 520억원, 차은택 감독이 관여한 창조경제 예산 1400억원 등이다. 윤 정책위의장은 “혈세를 곶감 빼먹듯 하나하나 빼내려 했다니 정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예산 편성 과정 등에서도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을 예로 들었다. 윤 정책위의장은 “400억원 규모의 사업이 문화창조 건립 사업으로 변질되면서 전년 대비 41.5%가 증가한 1278억원으로 편성됐다”며 “미르ㆍK스포츠재단이 개입한 코리아에이드 사업은 작년 50억원에서 3배 가까이 증가한 144억원이 됐다”고 말했다.

또 융합벨트 글로벌 허브화, 전시관, 콘텐츠 멀티유즈랩 등의 사업 등이 세부 사업 계획도 첨부되지 않은 채 내년 예산안에 편성됐고, 콘텐츠 체험장 조성사업 등에서 하루 만에 부처 승인이 떨어진 점 등을 하나하나 열거했다.

민주당은 재발방지책으로 지정기부금단체 관련 권한을 시민공익위원회로 바꾸는 법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윤 정책위의장은 “미르ㆍK스포츠재단 뿐 아니라 청년희망재단, 창조경제펀드 등 대기업 모금을 강요해 만든 기금으로 대통령 관심사업인 것처럼 추진했다”며 “이게 가능한건 지정기부금 단체를 지정하는 게 기재부 소관 업무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 관료가 이런 권한을 갖고 있고 공익 여부를 판단하는 주체가 정부 관료다보니 기업의 사회적 투자란 명목으로 ‘신(新) 전경유착’ 통로가 개설된 셈”이라며 시민공익위원회로 이 권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공익위는 공익법인 설립ㆍ사후관리ㆍ지정기부금단체 지정 심의 의결권ㆍ관리 감독 권한 등을 갖는다는 게 이 법안의 골자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