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은…탈당 후 거국내각 구성? 퇴진?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촛불집회 상황을 계속 보고받으며 결단을 고민중이다. 

청와대는 13일 오전 10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구체적 대책 마련에 나선다. 사실상 골든타임을 놓치면서 박 대통령의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됐다. 

탈당과 동시에 명실상부하게 2선으로 물러나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하는 방안과 퇴진(탄핵ㆍ하야)이 그것이다. 박 대통령의 결단이 주목된다. 

청와대는 12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퇴진촉구 촛불집회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책을 고심했다. 

주최 측 추산 100만명(경찰추산 26만명)이 운집해 촛불을 켠 데 대해 청와대는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3개 야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은 물론,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대표 등 야권 대선주자들도 거리로 나왔다는 점에서 이날 집회가 정국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들이 전원 출근하는 등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해 사태를 예의주시하면서 수시로 회의를 소집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또 13일 오전 10시에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촛불 민심을 반영한 구체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로 했다.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은 내부 대책회의에서 참모진에게 민심을 잘 살피면서 부문별 대책과 수습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보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뾰족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지난주 제시한 ‘국회 추천 총리 수용 및 영수회담’은 야당까지 거리로 나와 퇴진요구 대열에 가세한 만큼 이미 낡은 카드가 됐다.

결국 박 대통령이 추가로 결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동안 ‘찔끔 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입지가 상당히 좁아졌다. 

‘탈당과 동시에 명실상부한 2선 퇴진 및 거국중립내각 구성’이라는 야당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방안과 촛불민심을 엄중히 받아들여 ‘퇴진(탄핵 ㆍ하야)’하는 방안 정도가 남아 있다. 

전날 사상 최대의 집회 규모가 보여주듯 이미 민심은 전자도 부족하다는 여론이 높지만, 여전히 권력의지가 남은 박 대통령은 이 방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크다. 

후자로 갈 경우 박 대통령은 탄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탄핵의 경우 국회와 헌법재판소라는 두 개의 관문을 넘어야 해 의외의 활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애초부터 박 대통령이 야당 주도로 빨리 탄핵에 나서 줄 것을 내심 기다리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오기도 했다.

빠르면 13일 늦어도 14일까지는 내놓을 박 대통령의 마지막 승부수에 관심이 쏠린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