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더스카페]4차혁명이 오히려 고립 조장?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 ‘4차 산업혁명과 고립주의의 역설’

하버드출신 국내 각 분야 전문가 16명이 내년 이슈를 한마디로 압축한 말이다.

이미 시작된 4차 산업혁명은 더욱 세계를 하나로 묶어 나가며 단일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고립주의, 보호무역주의의 경향이 거세지고 있다.
[사진=빅 픽처2017/김윤이 외 지음/생각정원]

더욱이 인공지능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면서 실업증가와 비용절감을 위해 해외로 나갔던 기업들이 다시 돌아오는 제조업의 리쇼어링(reshoring)이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말하자면 4차산업혁명이 고립주의를 강화하는 역설이다.

‘빅 픽쳐 2017’(생각정원)은 우리 앞에 닥친 가장 뜨거운 이슈를 각 분야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16명의 저자들이 짚어내고 방향을 제시했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뇌과학, 신소재, 에너지 저장 매체 등 4차 산업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융합기술들과 민주주의 위기,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 공유경제, 사회성과연계 채권 등 주요 사회현상을 망라했다.

저자들에 따르면, 우선 4차 산업혁명의 변화는 공장에서 시작되고 있다. 생산ㆍ조립라인과 자동화된 대규모 생산시스템의 공장에서 센서와 칩이 들어간 기기들이 서로 연결돼 기계 스스로 생산 공정과 작업자, 기계를 제어해 최적의 실시간 의사결정을 이뤄내는 ‘생각하는 공장’이다.

이런 변화의 맨 앞에 독일이 있다. ‘인더스트리4.0’을 가동하고 있는 독일은 사물 인터넷에 기반을 둔 사이버 물리시스템을 구축, 실제 생산라인과 동일한 가상 사이버 생산라인을 연결, 운영중이다. 생산 라인에서 생긴 문제가 사이버 시스템에 그대로 반영돼 인공지능이 이를 사이버 상에서 해결하고 다시 실제 공정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여기에 사람의 개입은 없다.

혁신은 공장 뿐만 아니라 공장없는 제조업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기술의 보편화가 일어나면서 3D프린팅의 확산, 테크숍, 메이커 스페이스 같은 제조 인프라가 만들어지면서 공장없는 마이크로 제조업체나 1인메이커들이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초연결 지능사회의 관건으로 에너지를 꼽는다. 무어의 법칙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해온 반도체가 곧 한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또 글로벌 ICT(정보통신기술)기업들이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로 모이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부터 스위프트키, 몹보이 등 스타트업까지 열띤 혁신현장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의 장점을 쿨하게 인정하는 것이 발전의 시작이라고 강조한다.

인공지능 산업을 가속화할 신소재 개발의 현장도 찾아간다. 애플이 주목한 신소재 메탈릭글래스가 그 하나. 긁어도 잘 긁히지 않고 가볍고 일반금속보다 몇 배가량 강도가 높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플라스틱처럼 성형이 가능한 이 신소재는 로봇을 유기체처럼 유연하고 부드럽게 만드는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저자들은 이런 변화의 시기, 국가 경제를 총괄하고 경제성장을 이끄는 주체로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 과거 정부가 국민 앞에 서서 경제성장을 위한 산업정책을 세우고 이를 강력하게 추진하는 주체였다면, 오늘날 정부는 새로운 시대에 국민 뒤에 서서 “걱정하지 마, 내가 있잖아”라고 말하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 핵심과제로는 경제활성화와 복지를 꼽을 수 있다. 저자들은 만성적인 예산 부족에 시달릴 수 밖에 없는 분야에서 민간자본으로 공공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SIB(Social Impact Bond:사회성과 연계 채권)을 제안한다. 그러나 SIB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일반투자자들의 투자를 끌어내는게 관건이다. 사회공헌의 의의를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려는 투자자, 특히 사회공헌 예산을 가진 기업을 1차 대상으로 삼는게 좋다.

현재 세계는 민주주의 위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혼란스럽다. 브렉시트와 트럼프현상으로 우려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자들은 민주주의만이 희망임을 전제한 뒤, 민주주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모델은 바로 끊임없는 소통과 토론임을 강조한다. 기존 정치의 구태의연한 모습에서 벗어나 진정한 합의에 기초해 문제해결을 위해 지식과 지혜를 교환하는 모습이야말로 민주주의가 앞으로 바뀌어야 할 형태라는 것이다.

내년에 치러질 19대 대선은 그런 연장선상에서 과거와 다를 것으로 저자들은 내다본다. 정치 환경의 변화에 맞춰 대선은 인물과 지역보다 후보자가 어떤 정책과 생각을 갖고 있는지가 중요해진다. 혼란과 변화, 위기의 때이지만 민주주의가 한 단계 성숙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