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대기업 총수 망신주기 식 청문회 이제는 끝낼 때
내로라하는 한국 기업 총수 9명이 청문회 증언대에 나란히 앉아 의원들에게 추궁당하는 장면이 고스란히 TV로 생중계됐다. 이를 놓칠리 없는 외신들은 이 소식을 주요 뉴스로 실시간 타전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기업 총수들을 상대로 한 공개 심판(AP)’, ‘한국 업계 거인들 스캔들 조사에서 진땀(AFP)’ 등의 표현을 동원됐다. 한국적 정경유착 비리를 집중 보도하는 외신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번 일로 글로벌 시장에서 초 일류 반열에 들어선 한국 대기업 이미지와 신뢰에 큰 흠집이 난 것은 물론 나라의 꼴도 말이 아니게 됐다. 언제까지 권력과 기업의 유착 의혹 논란이 계속될지 마음이 답답하고 무겁다.

국제적 망신을 초래할 줄 뻔히 알면서 이런 식의 청문회를 열어야 하는 까닭도 여전히 납득할 수가 없다. 우선 대기업 총수를 한 자리에 불러 모은 것부터 그렇다. 최순실 국정 농단 파문을 촉발한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자금 성격을 따진다는 게 그 이유다. 하지만 이를 추궁하는 의원들은 시종 목청만 높였지 만족할 만한 답변은 단 한 마디도 받아내지 못했다. 진상규명의 의지가 있다면 먼저 실무 임원 등을 상대로 의심스러운 점들을 따져보고 이를 최고 책임자에게 확인하는 수순이 필요하다. 무턱대고 총수를 불러내 호통치고, 면박주는 식의 청문회로 얻을 수 있는 건 아무 것도 없다. 이미 28년 전 우리는 5공비리 청문회에서 똑 같은 경험을 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총수들의 한결같은 답변 중 하나는 “정부 정책에 따를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는 대목이다. 대가성 여부를 떠나 최고 권력과 독대한 자리에서 모종의 금전적 지원을 요청하는 데 이를 거절한 간 큰 기업인은 없다. 최순실 파문은 이런 구태를 청산하는 절호의 기회다. 재계도 ‘재벌도 공범’이라는 촛불 민심을 아프게 새겨야 한다. 그동안 투명치 않았던 부분이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회적 책임에 충실하되 이에 대한 관리에 더욱 투명할 필요가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