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ㆍ고교 성범죄 더는 못참아”…SNS, 제보 창구 역할 톡톡
- SNS로 재학생ㆍ졸업생 피해 제보 받아…시교육청 조사나서

- 학폭위 등 교내공식기구에 대한 불신으로 대안 찾아

- 10대들에게 익숙한 SNS 통해 제보 받아…파급효과 커


[헤럴드경제=구민정 기자] 중고등학교내 성범죄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고발되고 있다. 피해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계정을 만들고 같은 피해를 입은 학생들의 제보를 받는 등 성범죄 공론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

중고등학교내 성범죄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고발되고 있다. 피해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계정을 만들고 같은 피해를 입은 학생들의 제보를 받는 등 성범죄 공론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 [사진제공=해당 계정 트위터 캡쳐본]

지난 3일, SNS 트위터에 ‘S여중여고 문제 공론화’라는 계정이 만들어졌다. 익명의 이 계정은 서울 서초구 소재의 해당 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의 과목과 이름의 일부를 언급하며 이들이 학교에서 성추행 및 성희롱을 저질렀다는 내용의 제보글을 연달아 게재했다. 재학생 뿐만 아니라 졸업생들까지 제보 내용을 이 계정을 통해 전했다. 한 제보자는 “과학 담당이신 A 선생님께서 한 학생이 창틀에 배를 대고 베란다 바깥쪽에 있는 학생과 이야기하고 있자, 안쪽에 있는 학생 등에 (몸을) 겹치더니 막 뭐라 하셨다”며 “학생이 하지말라고, 비키라고 하니 오히려 A 선생님이 너가 비켜야지라고 말씀했다”고 전했다. 한 졸업생은 “B 선생님은 내 첫 담임”이라며 “단체기합이라는 명분 하에 우리 반 학생들에게 치마를 입은 채로 책상에 올라가게 하고 두 손을 들게 한 뒤 허벅지를 때리는 체벌을 했다”고 폭로했다. 서울시 교육청은 해당 학교를 상대로 진상 조사에 나섰고, 학생 상습 성추행 의혹이 불거진 교사 8명 전원을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교육청 측은 “교사 8명 가운데 7명은 현직 교사”라며 “나머지 1명은 이미 성추행 문제로 지난 8월 학교 자체 조사를 거쳐 해임됐다”고 말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이어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학교 측에 해당 교사들을 수업에서 배제하고 학생과 분리 조치하라고 요구했다”로 밝혔다.

중고등학교내 성범죄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고발되고 있다. 피해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계정을 만들고 같은 피해를 입은 학생들의 제보를 받는 등 성범죄 공론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 [사진제공=해당 계정 트위터 캡쳐본]

S여중여고에 이어 ‘C중 성희롱 공론화’ 계정이 지난 10일 트위터를 통해 개설됐다.

학생들은 해당 계정에서 C중학교의 한 도덕과목 교사의 부적절한 언행을 고발했다. 제보에 따르면 해당 교사는 “안경을 쓰고 벗는 모습이 섹시하다, 한번 더 해봐라”, “너 우리 교회에 있는 다운증후군 아이 닮았다”며 성희롱발언, 차별 발언을 서슴치 않았다. 또 해당 교사가 “여자는 말이 많으면 개돼지다, 부인과 딸은 개돼지다”라며 자신의 부인과 딸을 비하하는 발언도 했다는 제보 이어졌다. 해당 교사는 지난 7일, 수업에서 배제됐고 현재 병가를 내고 학교에 나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측은 “특별 장학사를 파견해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중고등학교 내 교사들에 의한 성범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SNS가 제보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이하 ‘학폭위’) 등 교내 공론기구를 대신해 피해학생들이 트위터와 같은 SNS기능을 이용해 교사의 성범죄를 공론화 하고 있는 것이다. SNS를 통한 성범죄 공론화 과정은 최근 진행된 ‘문단내성폭력 고발 운동’이나 각종 ‘여성혐오 아카이빙’ 계정과 맥을 같이 한다. 성범죄 문제를 집단 내부에서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은폐하려던 과거와는 달리 외부로 적극적으로 알리고 실질적인 해결을 위해 움직이는 모습으로 변화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교내 공식문제해결기구에 대한 불신과 10대 청소년들에게 익숙한 방법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현숙 탁틴내일 대표는 “학폭위나 보건교사와 같은 교내 기구에 문제제기를 했을 경우 제대로 해결되지 못해 10대들에게 익숙한 방식을 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개인적으로 해결하기 보단, 파급효과가 큰 SNS를 통해 다른 피해자들의 제보를 받는 방식을 생각해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korean.g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