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예상된 미 금리인상, 불확실성 제거로 받아들여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이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p 인상, 0.50%∼0.75%가 됐다.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0% 금리시대를 마감한데 이어 1년만에 나온 추가 인상 조치다. 최근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등 경제성장의 기대감을 반영한 예고됐던 결과다.

세계시장의 반응도 예상된 수준대로 움직였다. 달러는 강세를 보였고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미세한 하락기조를 나타냈다. 국제유가는 14일 4% 가까이 하락하며 장을 마쳤지만 큰 충격은 없었다. 세계시장은 연준의 이번 조치를 ‘불확실성을 걷어내고 비정상을 정상화시키는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도 불안과 우려에 빠져 있을 게 아니라 그런 자세로 이번 조치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제 문제는 방향이 아니라 속도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달러화의 추가 강세 여부가 초미의 관심이다. 그에 따라 신흥국에서의 자금 흐름이 결정되기 때문이다.이미 글로벌 큰 손들의 머니무브는 진행 중이다. 신흥국과 채권에서 빠진 돈은 미국 주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신흥국의 주식과 펀드에서 빠져 미국으로 흘러들어간 자금은 모두 210억 달러(약 25조 원)에 달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은 3조5100억 달러(약 4105조 원)이나 된다. 큰 흐름은 시작도 안됐다는 얘기다.

지난해 초 연준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0.25% 포인트 금리를 인상하자 우리나라에서 빠져나간 돈이 석달동안 50억 달러(약 6조원)를 넘는다.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작지않다. 이를 감안한 정책운용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옐런 의장은 내년도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해서는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경제전문가들은 대체로 세번쯤 더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연말 1.5% 정도가 된다는 얘기다. 금리 자체는 우리 수준(1.25%)을 넘어서는 셈이다. 자금 유출을 막으려면 우리도 기준금리를 현실화해야 하지만 1300조원이나 되는 가계부채를 감안할 때 섣불리 결정하기 어려운 일이다. 금리인상은 안그래도 어려운 경제 상황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히려 금리 인하를 주장하기까지 하는 현실이다.

현재로선 정부와 한국은행이 미 금리 인상의 충격파를 최소화하면서도 경기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묘수를 찾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