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진짜와 가짜사이] ‘가짜뉴스’에 집단 스트레스…뉴스 꺼버린다
-SNS 등 통해 급속히 확산 ‘혼란’
-정치적 냉소주의, 무관심 우려
-“정보 투명성ㆍ언론 신뢰 우선”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 직장인 김현숙(52ㆍ가명) 씨는 최근 SNS 활동을 끊었다.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신문, 방송, SNS 등 으로 뉴스를 꼬박꼬박 챙겨봤지만 뉴스가 과연 정말 진실인지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김 씨는 “SNS 친구들이 ‘좋아요’ 누른 글이나 카카오톡으로 보내준 기사 링크는 꼭 챙겨보곤 했는데 신문이나 방송 보도와는 전혀 딴판이어서 도대체 뭐가 뭔지 혼란스러웠다”며 “머리가 지끈 아파 당분간은 뉴스에 관심을 끄기로 했다”고 했다. 이어 “기성 언론의 보도는 가끔씩 보긴 하지만 100% 신뢰가 가지 않는 것은 매한가지”라고 했다. 

‘가짜뉴스’가 온라인에서 활개치면서 진짜와 가짜뉴스 사이에서 일부 시민들이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 18일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배포된 기사 형태의 인쇄물. [사진=이현정 기자/rene@heraldcorp.com]

허위 정보가 담긴 기사체 형식의 ‘가짜뉴스’가 온라인에서 활개치면서 진짜와 가짜뉴스 사이에서 일부 시민들이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가짜뉴스는 자신의 주장에 부합하는 정보만 수용하려는 인간의 확증편향을 이용해 빠른 속도로 전파되어 왔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의견 양극화’는 물론 정치적 집단극화와 극단주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해왔다. 그러나 이와 정반대로 가짜뉴스로 혼란과 피로감을 느낀 시민들이 오히려 뉴스를 멀리하고 무관심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페이크뉴스(가짜뉴스)는 사회적 신뢰저하나 정치적 집단극화 뿐만 아니라 정치적 무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허위정보와 극단 정보 등에 노출된 시민들이 정치를 불신하고 냉소적으로 보며 정치 참여에 거리를 둘 수 있다”고 했다.

문제는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다.

헌재가 탄핵을 인용하든 기각하든 어느 한쪽은 헌재 판결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불복해 가짜뉴스를 더 퍼뜨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안이 요구되지만 무엇보다 정보의 투명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가짜뉴스를 이용해 유리한 위치에 서려고 하는 집단에 의해 국민은 집단 스트레스와 피로감에 젖어 있는 상황”이라며 “헌재 판결 이후에는 정부와 정치권이 정보의 투명성을 최대한 보장해 가짜뉴스의 여지를 줄이고 국민의 정신적인 재건을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했다.

정보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성언론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정부 구조가 원활하지 않고 소통이 부족해 시의적인 시점에 정보가 제공되지 않거나 사회의 중요 정보처인 언론의 신뢰도가 낮을 때 가짜뉴스가 성행하기 쉽다”며 언론의 신뢰 회복을 우선 과제 중 하나로 꼽았다.

re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