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최종인 한밭대 기획처장·기술지주회사 대표 ] 청년 기업가, 제대로 키우려면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은 고등교육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학문분야다. 대학의 경영학에서 시작된 창업교육 분야는 이제 공대, 디자인, 인문학 등 전 분야의 교수와 학생들로 확대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데에는 교육부, 중기청, 미래부 등 정부지원을 토대로 한 창업교육센터, 창업 전공 및 부전공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 미국 등은 민간재단의 창업교육 지원이 높은 편이다. 대표적 사례로 미국의 카우프만 재단이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18개 대학들에 캠퍼스 창업문화를 확대하기 위해 5000억원을 투입해 창업교육과 창업문화 확산 프로그램(KCI)을 지원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창업교육 지원 정책으로는 교육부의 ‘산학협력선도대학’(LINC)과 중소기업청의 ‘창업선도대학’, 2015년부터 시작한 미래부의 대학원생 중심 ‘아이 코아’ 등 세 가지 프로그램이 있다.

이들 정책이 지원한 대학의 숫자를 보면 산학협력선도대학 86개(전문대포함), 창업선도대학 34개, 아이코아 20개 대학이며, 이밖에 기업가센터, 기술창업교육센터 등 각종 재정지원 사업을 포함하면 창업교육을 실시하는 대학들의 숫자는 더 커진다. 중복된 대학을 제외하고 정부지원을 받는 대학의 총 숫자는 대략 110개에 이른다. 이는 전체 대학의 25% 수준으로 사업별로 지원금액의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대학별 2~3억원 내외의 예산이 창업교육에 투입되고 있다.

2015년까지 지난 4년간 창업교육 성과를 ‘산학협력활동보고서’(연구재단, 2016)를 통해 보면 괄목할만한 성과가 보인다. 대학정보공시 의무를 가지는 전국 424개 대학의 산학협력활동을 조사한 결과 2012년 대비 창업강좌 이수학생 수는 82% 증가한 29만명에 이른다. 무엇보다 실질적 창업강좌가 늘어 대학당 15개나 개설됐다.

특히 아이디어를 기회로 바꾸고자 하는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이 늘어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다만 이 숫자의 한계는 정부지원 여부와는 상관없는 국내대학 모두의 통계수치이며, 정부지원 혜택을 받는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을 구분해 조사하면 대학 간 격차는 더욱 커진다.

이제 창업교육의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 정책노력이 요구된다. 창업교육 격차(entrepreneurship divide) 해소를 위한 세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전지식과 경험 많은 대학들의 자발적 지원노력이다. 특별한 혜택을 받은 대학들이 그렇지 못한 대학을 대상으로 책임감을 갖고 창업교육과 관리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이다. 여기에 ‘창업교육협의회’와 학회 등이 참여한다면 상승효과를 가질 것이다.

둘째, 지자체와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의 지원책 마련이다. 특히 전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멘토들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 프로그램 마련과 재정적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정부와 연구재단 등의 체계적 정책 발굴 노력이다. 앞선 두 가지 이슈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창업교육의 격차를 해소하고, 기업가정신의 씨앗을 전국에 ‘파종’(seedling)하는 정책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