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요일 조퇴 가능할까②]‘원조’ 일본은 출발부터 삐걱…한국은?
-먼저 시작한 日, 3.7%만 ‘조퇴’
-실적 증가’ vs ‘효과 제한, 엇갈려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정부가 한 달에 한 번씩 가족과 함께 보내는 금요일을 정해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유연근무제 도입이 추진되는 가운데 지난달 일본에서 처음 시작한 ‘프리미엄 프라이데이’에 관심이 높다. 내수 부진으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해보고자 한ㆍ일 정부가 ‘조기 퇴근’이라는 같은 카드를 내민 셈이다. 그러나 일본이 시행 초기부터 삐걱대는 모습을 보이면서 전문가들은 “한국도 내수 진작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라며 부정적으로 봤다.

일본 정부는 일본 게이단렌(經團連ㆍ경제단체연합회)과 함께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은 오후 3시에 퇴근하도록 하는 내용의 ‘프리미엄 프라이데이’ 제도를 지난달 24일 처음으로 시행했다. 일본 정부는 3월까지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하고 오는 4월부터 전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도쿄의 한 백화점이 지난달 24일, 프리미엄 프라이데이 첫 시행에 맞춰 홍보 현수막을 걸어놨다. 그러나 시행 첫날 제도 시행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시행 첫날부터 지난 1980년대 유행했던 ‘하나킨(꽃의 금요일)’이 부활했다며 대대적인 선전에 나섰다. 하나킨은 ‘다음날 일 걱정을 하지 않고 놀 수 있는 금요일’이란 뜻으로, 정부는 주5일제를 처음 도입했을 때와 비슷한 내수 진작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일본 내 전문가들도 금요일 조기 퇴근 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 1200억엔 수준의 경제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일본 제일생명경제연구소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전국의 기업 임직원이 금요일 오후 3시 퇴근을 지키고, 이들이 쇼핑이나 여행 등의 소비행위를 한다고 했을 때 하루 동안 내수 진작 효과는 1230억엔이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핼러윈데이 당일 경제효과(1300억엔)와 맞먹는 수치다.

그러나 시행 첫날, 일본 내 반응은 엇갈렸다. 일본의 마케팅 회사인 인테지에 따르면 프리미엄 프라이데이 시행 직후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200명 중 조기 퇴근 제도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3.7%에 그쳤다. 일본 SMBC 닛코증권도 지난달 17일 보고서에서 “자체 조사 결과, 응답자의 60%가 ‘조기 퇴근 때 집에서 쉴 예정’이라고 답했다”며 “제도 시행 결과가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반면, 긍정적인 신호도 나왔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ㆍ닛케이) 신문은 “일본 5대 대형 백화점의 지난 2월 매출이 증가세였다”며 “영업일이 전년 동기보다 줄었음에도 프리미엄 프라이데이 효과가 어느 정도 있었다”고 보도했다. 백화점 측에서도 “소비 진작 효과가 있어 확대 시행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기자 회견을 통해 “프리미엄 프라이데이 제도가 정착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 사이에 분위기가 조성되면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당사자인 직장인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일본 히로시마의 한 대기업에 다니는 도이 카즈키(27) 씨는 “지난해부터 전국적으로 근로시간 줄이기 캠페인이 벌어지고, 야근이 많은 회사는 블랙기업 리스트에 올라 정부가 직접 명단을 발표하고 있다”며 “미리 조기퇴근 제도를 시작한 회사는 직장인들이 금요일마다 강좌를 새로 듣는 등 여가산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직장인 나카가와 지로(30) 씨는 “지방의 경우 인력난으로 업무가 밀려있는 경우가 많다”며 “현실적으로 시행이 어려운 기업이 많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원조’ 일본의 엇갈린 반응에 국내에서는 ‘일본만큼도 효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란 부정적인 전망이 잇따랐다.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한국 상황에서 두 시간 퇴근으로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일본과 같은 내수진작 효과는 실제로 없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제연구소 연구원 역시 “강압적인 사내 문화는 한국이 더 심한 경우도 많다”며 “총리가 나서 기업에 조기 퇴근을 압박하는 일본에 비해 국내에서는 하나의 전시행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