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선 D-12]문재인ㆍ안철수 통합정부로 승부수…내용은 달라
[헤럴드경제]대선이 12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 당 후보가 집권하면 통합정부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공교롭게도 두 후보 모두 ‘통합’을 차기 정부의 콘셉트로 정했다. 어느 당에서 집권하더라도 여소야대 구도가 불가피한 이상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다른 정치세력과의 협치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단, 양측 모두 ‘통합’을 강조했지만, 연대범위와 배제의 대상을 놓고서는 시각차를 드러냈다.

당장 문 후보 측은 ‘탄핵 반대 세력’은 통합 대상에서 배제했다. 사실상 자유한국당과는 같이 할 수 없다며 선을 그은 셈이다.

반면, 안 후보 측은 소속 정당과 관계없이 최고의 인재라면 자유한국당 소속이라도 등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후보는 27일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도덕성, 개혁성, 대탕평, 대통합관점에서 내각을 구성하도록 해 대한민국 드림팀을 구성하겠다”며 통합정부에 대한 기본 입장을 밝혔다.

이어 “1차 통합 대상은 기존의 야권 정당이다. 국민의당, 정의당과는 정책연대로 함께할 수 있다. 국민의당은 뿌리가 같은 만큼 통합 가능성도 열어놨다”고 설명했다.

초대 국무총리에 대해서는 “영남이 아닌 분을 모시겠다”며 “특정 지역을 지금 단계에서 언급하기 어렵지만, 염두에 둔 분이 있다”고 말했다.

통합정부추진위 변재일 공동위원장 역시 국회 토론회에서 “통합정부는 정당, 국민, 시민사회 등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의 용광로”라고 설명했다.

통합 범주에 대해서는 “정당의 경우 탄핵 찬성 세력으로, 정당 간 연합이 아닌 신뢰를 바탕으로 협조를 끌어내는 입법연대가 될 것”이라며 “‘통합과 신뢰회복 추진위’를 만들어 국민과 시민사회까지 광범위한 참여를 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제왕적 대통령제 개혁, 시민의 정치참여 및 직접민주주의 강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선거제도 개편, 국회의 효율적 운영방안 마련, 재벌의 지배구조 개선 등을 꼽았다.

안철수 후보는 20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집권하면 통합내각을 하겠다”며 “현재 다른 캠프에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능력 있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을 등용해 쓰겠다”고 말했다.

차기 내각에 민주당이나 한국당 소속도 등용하겠다는 뜻인지를 묻자 “물론이다.

다들 대한민국 인재 아닌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최적의 인재가 다른 당에 있다면 그 사람을 쓰겠다”고 답했다.

문재인 후보가 탄핵 반대 세력과 선을 그은 것과는 달리 한국당도 끌어안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통합 메시지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반문 단일화 프레임’에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만큼 ‘대선 전 연대가 아닌 대선 후 협치’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안 후보 측은 집권하게 되면 여야에서 친문(친문재인) 및 친박(친박근혜) 세력을 제외하고 국회 선진화법을 넘어설 수 있는 180명 이상의 의원들로부터 통합정부에 대한 지지를 끌어내 안정적인 국정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각 당의 대선 득표율에 따라 통합내각의 지분을 나눠 갖는 방안도 제기됐으나, 이런 방안은 고려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안 후보 측은 이미 국무총리에 대해서는 국민의당 인사가 맡지 않겠다고 선언해다른 당에 양보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안 후보가 집권하면 같은 야권이자 원내 제1당인 민주당 소속 인사 중 국무총리를 임명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안 후보 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의당은 의석수가 적기 때문에오히려 합리적 개혁세력들을 협치로 모아낼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있다”면서 “이를 채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로드맵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28일 집권 후 통합정부의 구성과 운영방안, 이를 통한 개혁비전을 담은 ‘통합정부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