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30년 넘은 교량·터널·상하수도 선제적 관리
市, DB구축…‘예측모델’ 개발
2020년 6월까지 ‘종합계획’수립


서울시가 내년에 30년 넘은 교량, 터널, 상하수도 등 노후 인프라 전부를 실태조사한다. 내년 상반기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각 시설물의 보수ㆍ보강 최적기를 산출해내는 ‘미래예측모델’ 기술을 개발한다. 이어 연차별 투자계획을 담은 노후 도시인프라 ‘종합관리 계획’을 2020년 6월까지 수립한다.
서울시는 12일 이러한 내용을 뼈대로 한 ‘서울인프라 다음 100년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노후 인프라에 대한 시민 안전 위협을 해소하고, 미래 재정 압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시에 따르면 시 전체 인프라는 교량ㆍ터널 1156곳 등 시설물 2394곳, 관로와 궤도 2만5108㎞에 이른다. 이 중 70% 이상이 70~80년대 압축성장기에 건설돼 30년 이상 노후화 비율은 지난해 33%에서 20년 뒤인 2036년에 86%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그간 ‘단기 유지보수와 사후관리’ 위주이던 시설물 관리를 ‘미래를 대비한 중장기적ㆍ선제적 대응’ 방식으로 대전환한다.

우선 30년 넘은 시설물에 대한 ‘실태평가 보고서’ 작성을 내년부터 의무화하며 5년 주기로 업데이트한다.

이 보고서를 토대로 서울시 14개 관리부서가 협업해 투자 우선순위, 연차별 투자계획을 담은 ‘종합관리계획’을 2020년 6월에 만든다. 특히 내년부터 교량을 대상으로 우선 투자계획을 세운다.

제각각이던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를 안전총괄본부로 통합한다. 빅데이터 기술로 시설물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각 시설물의 상태변화ㆍ유지관리비용 등을 예측ㆍ분석하며, 보수ㆍ보강 시점까지 예측하는 ‘미래 예측 모델 기술’을 개발한다.

이 모델을 시내 전체 358개 교량에 적용할 경우, 2030년까지 총 8287억원의 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시는 추산했다.

시는 시설물 노후화가 서울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 재정 지원을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또 중앙정부, 시민, 전문가, 유관기관과 협업시스템을 구축해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