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핵·위안부·한미정상회담…강경화 앞에 놓인 산들
[헤럴드경제] 18일 지명 28일 만에 임명된 강경화 외교부 장관<사진> 앞에는 쉽지 않은 각종 현안이 산적해 있다. 북한·북핵 대응, 일본군 위안부 문제, 주변 4국 외교 등이 대표적이다. 29∼30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첫 정상회담 준비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강 장관은 앞서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임명이 되면 그 즉시 미국 방문을 추진해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첫 정상회담이 갖는 중요성을 반영한 발언이라는 평가다. 이에 따라 조만간 정상회담 사전 조율을 위한 강 장관의 방미도 추진될 것으로 관측된다.

구체적으로 사드 환경영향평가 문제와 한미 간 북한·북핵 대응 기조를 어떻게 조율할지도 관심이다. 북한에 대해 제재와 대화를 병행하려는 문재인 정부로서는 북한은 물론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국과의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나가야 한다.


이런 가운데 미국을 방문한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대통령특보는 16일(현지시간)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미 합동 군사훈련과 한국 내 전략무기 자산을 ‘축소’하는 방안을 미국과 상의하겠다는 입장도 밝혀,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가 파열음을 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강 장관이 다자외교 전문가이지만, 북한·북핵 대응 관련해서는 특별한 성과를 보인 적이 없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이 때문에 정부 내 북한·북핵 문제 논의에서 외교부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미·중 사이에서 사드 관련 해법을 찾는 것이나 일본을 상대로 역사적 반성과 실용적 안보·경제 협력을 병행 추진해 나가는 것, 러시아와의 경제 협력 추진도 주변 4국 외교 차원에서 풀어나가야 하는 주요 의제다.

특히 한국 여성으로서 유엔기구의 최고위직에 진출했던 강 장관이 그동안 인권·인도주의 전문가로 국제무대에 활약해온 만큼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