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휴가 전 파업 안 한다"…현대차 노조 과거 달라졌다
[헤럴드경제=이슈섹션] “협상 장기화로 협력업체의 경영난과 고객의 불편을 초래한 데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과거와 다른 모습으로 거듭나겠습니다.”현대자동차 노사가 지난해 임금협상 타결 조인식에서 국민을 상대로 한 약속이다.

노조가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실제 올해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합뉴스는 18일 노조는 중앙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여름 휴가 전 파업하지 않기로 하고 주말 휴일 특근도 예정대로 진행하고, 교섭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사진=현대차 노조 홈페이지]

조합원 파업 찬반투표까지 가결한 상태여서 당연히 예상됐던 파업투쟁을 유보한셈이다.

노조는 올해 교섭 중 이미 “올해 임단협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전면적인 파업이나 대립이 아니라 조정과 협상을 병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파업을 위한 파업보다는 대화로 풀어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이처럼 노조가 교섭 결렬과 파업 투표를 끝내놓고 곧바로 파업에 들어가지 않기로 한 것은 이례적이다.

최근 5년의 노사협상 전례를 보면 노조의 첫 쟁의대책위 회의에서 파업이 결정됐다.

그러나 올해 노조가 이런 결정을 한 가장 큰 원인은 조합원과 국민의 부정적인 시각이 부담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올해 조합원 파업 찬반투표를 보면 찬성률 65.93%로 2007년 62.95% 찬성률 이후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76.54%보다 10% 빠진 것이다.

그만큼 조합원 사이에는 파업을 바라지 않는 부정적 기류가 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지난해 노사협상 과정에서 벌인 20여 차례 넘는 장기 파업이 재연되지 않을까 하는 조합원 우려도 없지 않아 보인다.

노조는 지난해 12년 만의 전면파업을 비롯해 모두 24차례 파업했고, 12차례 주말 특근도 하지 않았다.

회사는 지난해 분규에 따른 생산차질 규모를 14만2,000여대, 3조1,000여억원으로 추산했는데, 파업 관련 생산차질 규모가 3조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었다.

연례행사처럼 파업하는 노조에 대한 국민의 비판도 따가워 최근에는 ‘현대차를 사지 말자’며 불매 운동에 나서는 네티즌까지 생겨났다.

노조 집행부는 또 아직 회사 제시안이 나오지 않아 집중 교섭도 해보지 못한 상황에서 파업에 나서는 것은 회사를 압박할 효과가 미미하다는 판단을 했을 수 있다.

노조는 휴가 이후 오는 8월 7일 쟁의대책위 회의를 다시 열어 향후 계획을 논의하기로 했다
.
이에 따라 휴가 이후 교섭에서 절충점을 찾지 못할 경우 노조의 파업은 불가피해 보인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