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부좌 튼 유승민, 시간없는 합당파
- 국민의당으로 이목 끌고, 보수정신 강조…전당대회까지 이어질까
- 보수대통합 조건에 한국당내 반발…시간없는 통합파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자유한국당 쪽으로도 국민의당 쪽으로도 합당 가속이 붙지 않는 가운데 실리는 자강파 좌장격인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챙겼다. 애초에 ‘자강’을 외치며 전당대회 개최를 주창한 유 의원으로서는 국민의당과 합당이 어그러져도 명분상 손해가 없다. 반면, 전당대회 전으로 시점을 정한 한국당ㆍ바른정당파는 시간이 없다.

유 의원은 앞서 “국민의당이 안보문제에서 그동안 오락가락을 많이 했고 우리와 생각이 다른 정책이 분명히 있다”고 했다. 국민의당의 합당에 안보관을 필두로 한 ‘보수정신’을 조건을 내건 셈이다. 자강파는 전당대회를 정상적으로 치르겠다는 기존 기조도 명확히 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애초 독립 정당을 추구하는 자강파에게 합당은 최선의 수가 아니었다. 20석에 불과한 중소정당이 선거를 치를 수 있느냐는 현실적 의문에서 나온 그다음 수다. 한 핵심 관계자는 앞서 “원래 선거연대 수준의 생각이었다”고 했다. 연대 수준으로 논의가 이어지면서 전당대회만 치러져도 자강파가 원했던 순서다.

오히려 불똥은 국민의당 쪽으로 튀었다. 중도연합을 추진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25일 연석회의에서 강한 반발을 받았다.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은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불쑥 제기해놓고는 떠보는 식해선 시기도 맞지 않고 올바른 절차도 아니라는 발언이 많았다”고 했다. 그러든지 말든지, 자강파는 급할 것이 없다. 보수정신이란 명분을 세우고 가부좌를 튼 채 ‘협의체 만들자’, ‘정책 연대 계속하자’는 등의 미약한 신호만 이어가고 있다.

반면, 한국당 통합파는 상황이 다르다. ‘전당대회 전’이라는 마감 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통합의 명분이었던 ‘혁신’은 한국당 내에서 상당한 반발에 직면했다.

현직 의원인 서청원ㆍ최경환 의원은 출당이 어렵다. 두 의원은 현직 신분으로서 당 의원총회에서 전체 의원 가운데 3분의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제명이 가능하다. 한국당 의원 107명 가운데 최소 72명이 동의해줘야 하는데, 사실상불가능할 거란 관측이 많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는 한 라디오에서 “바른정당 일부 의원을 받기 위해 ‘당내에서 탄핵에 반대한 사람이 탄핵에 찬성한 사람에게 축출되는 모습은 맞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는 의원들이 꽤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까지 어그러지면 통합파로서는 합당의 명분이 사라진다. 친박계는 이미 대응에 나섰다. 서 의원은 “탕아가 돌아오는데 양탄자를 깔아 환영해야 한다는 말인가”며 “당론을 깨고 나간 사람들, 정권을 빼앗기도록 한 사람들이 영웅시돼서 돌아오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반대했던 사람을 역적으로 몰고 내쫓으려는 정치문화는 없어져야 한다”고 했다.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를 두고 나뉜 최고위 구성도 골치다. 홍 대표와 그의 측근인 이종혁 최고위원, 보수 대통합 추진위원회(통추위)에서 활동하는 이철우 최고위원 등 3명은 출당 찬성파로 분류되지만, 김태흠ㆍ이재만 최고위원은 출당 반대파로 구분된다.

견해를 밝히지 않은 나머지 4명 가운데 공개적으로 절차상의 아쉬움을 드러내 온 정우택 원내대표와 친박(친박근혜) 태극기 집회에 참여한 류여해 최고위원은 출당 반대파, 이재영 최고위원은 출당 찬성파로 각각 기울 가능성이 점쳐진다.

박 전 대통령 제명을 위해 윤리위 결정 외에 최고위 의결을 따로 거쳐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그러나 지도부는 추후 논란의 소지를 없애고자 최고위를 거치기로 했다. 그러나 애초 절차상 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성격에 가까웠던 최고위가 내부의 팽팽한 찬반 논란 속에 되레 문제만 복잡해졌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