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미사일 발사 의심 전파 포착”…70여일째 도발 멈춘 김정은 “양어장 시찰”
- 일본 교도통신, 日정부 관계자 인용해 보도…“훈련 가능성도”
- 美국방부 "北미사일 추가도발 가능성 예의주시"
- 美CSIS, 김정일 6주기(12월17일) 전후해 도발 가능성↑
- 조선중앙방송 “김정은 양어장 시찰”… 자력갱생 민생행보 지속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일본 정부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준비를 의심하게 하는 전파 신호를 포착했다고 교도통신이 28일 복수의 일본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미국 국방부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가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헤럴드DB사진

이런 가운데, 조선중앙방송은 이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평안남도 순천의 메기공장(양어장)을 시찰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15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를 발사한 이후 70여일째 추가도발을 멈추고 경제 현장 시찰을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설 ‘자력갱생’을 강조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이날 보도에서 미사일의 종류 등은 특정돼 있지 않다면서 “수일 내 발사도 있을 수있다”는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통신은 다만 “위성 영상에서는 미사일 본체나 이동식 발사대의 모습이 파악되지않았다”며 “이런 까닭에 (일본 정부가) 미사일 발사 준비가 아니라 인민군의 동계훈련 과정에서 나온 전파 신호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신중히 분석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신은 9월 말 북한의 미사일 공장에서 미사일이 반출됐다는 보도가 있었고, 10월에는 탄도미사일이 실린 이동식 발사대의 이동 모습을 미국 위성이 포착하기도 했다며 북한이 미국 등의 태도를 보려고 양동작전을 펴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과거에도 비슷하게 탄도미사일 발사 준비를 의심하게 하는 전파 신호가 포착된 적 있지만 미사일이 발사되지 않은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설명=외신과 전문가들이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이후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을 잇달아 제기하고 있지만, 정작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70여일째 도발을 멈추고 현장시찰을 통한 경제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평안남도 순천에 최근 준공된 메기공장(양어장)을 시찰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지난 21일 보도된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방문 이후 1주일 만의 행보다. 김정은은 지난 9월 말 이후 황해남도 과일군 방문을 시작으로 군부대 산하 농장, 운동화를 생산하는 류원신발공장, 평양화장품공장, 트럭 생산시설인 3월 16일 공장, 금성트랙터공장,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등 경제현장 시찰에 집중해 왔다. 이 과정에서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설 ‘자력갱생’과 ‘국산화’, 이를 위한 과학기술 발전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연합뉴스]

한편, 로버트 매닝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교도통신이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준비하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보도한 데 대한 입장을 질문받자 이같이 대답했다.

매닝 대변인은 “우리는 지속해서 예의주시할 것”이라며 “한·미 동맹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이나 공격에도 대응할 능력이 있고, 앞으로도 굳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20일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한 뒤 북한이 다시 도발을 감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북한이 앞으로 2주에서 한 달 사이에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을 뜻하는 ‘대량파괴무기(WMD) 활동’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예측했다. 특히 김정일 사망 6주기인 오는 12월 17일을 전후해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정은 집권 5년 동안 북한이 12월에 도발한 것은 단 2차례로, 지난 2015년 12월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2012년 12월에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인 은하 3호를 발사한 바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