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드보복’ 인정 안하던 中, 베이징ㆍ산둥성만 韓단체관광 허용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중국의 관광분야 주무부처인 국가여유국(國家旅游局)이 28일 회의를 통해 베이징(北京)과 산둥(山東)지역에 한해 일반 여행사들에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했다.

그동안 중국 정부가 주한미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 배치를 이유로 한국에 경제적 보복을 가한 바 없다는 주장과는 달리 10ㆍ31 협의가 이뤄진 직후 제한적 해제가 이뤄진 것이라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한중 사드협의를 계기로 지난 3월 이후 8개월 간 이뤄진 단체관광 제한조치가 해제된 것이라면 중국정부가 묵시적으로 ‘사드보복’에 관여해온 사실이 증명된 것이나 다름없다. 이와 관련해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외교부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사항에 대해 아직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중국이 사드보복을 암묵적으로 시인하고 있는 대목은 이뿐만이 아니다. 국가여유국은 베이징과 산둥 여행사에 한국행 상품을 판매할 때 롯데 호텔 숙박이나 롯데 면세점 쇼핑이 포함돼서는 안 된다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이 국방부와 사드부지 교환계약을 체결한 점을 인식해 가한 조치로 해석된다. 국가여유국은 다만 한국행 상품을 저가로 팔아서는 안된다는 단서도 단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여유국은 이날 베이징시와 산둥성 지역 회의를 열고 그간 금지됐던 한국행 단체관광과 관련, 베이징과 산둥의 일반 여행사들에 한해 1차로 허용하기로 했다. 이로써 중국인들의 한국 단체관광이 8개월여만에 일부 지역에서 다시 가능하게 됐다. 이번 단체관광 허용은 두 지역의 일반 오프라인 여행사만 해당되며 씨트립(携程) 등 온라인 여행사는 해당되지 않는다. 전세기 운항이나 크루즈선의 정박도 아직은 풀리지 않았다.

중국 당국의 이번 조치는 지난달 31일 사드 갈등을 봉합하는 공동 합의문을 발표한 뒤 한중 간 경제ㆍ문화 교류가 재개되는 가운데 다음 달 한중정상회담이 예정된 상황에서 관광 분야에서도 개선 신호를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3불 입장’과 사드문제 해결을 위한 군사회담 조기개최로 우리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보복이 언제 다시 가해질 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잔존하고 있다.

이와 관련, 베이징 외교가는 중국이 그래도 ‘성의’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소식통은 “사드 문제가 봉합된 데다 내달 한중 정상회담도 앞둔 상황에서 중국이 관광 분야에서도 일부 성의 표시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중국과 한국을 오가는 항공사들은 탑승객 증가를 예상하고 증편을 검토 중이다. 국내 면세점 등 유통업체와 여행사들도 다시 유커(遊客ㆍ중국인 관광객) 맞이 채비에 나서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15일부터 베이징(北京)ㆍ상하이(上海) 등지 여행사들은 한국 단체관광 상품 취급을 일제히 중단했다.

당시 중국 당국은 성(省)ㆍ시ㆍ자치구별로 여행사들에 구두로 된 비공식 지침에따라 한국 단체관광 여행상품을 판매금지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계기로 출범한 시진핑(習近平) 집권2기를 맞아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이트인 씨트립에 돌연 한국 여행 소개가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 국가여유국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 여행도 랴오닝(遼寧)성과 지린(吉林)성에서 출발하는 관광만 허용하는 것으로 제한했다. 최근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을 둘러싼 중국의 대북제재 강화와 관련해 북중 관계가 경색된 가운데 이뤄진 조치다.

중국 당국은 이와 함께 일본에 대해서도 내년 일본행 관광객이 2016년과 2017년 수준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일본행 관광과 관련해 ‘민족적 존엄성’이 언급된 점을 고려하면 오는 12월 13일 난징(南京)대학살 70주년을 즈음해 일본행 관광을 억제 관리하기 위한 차원인 것으로 해석된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