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도시재생 3곳, 8만8693개 일자리 창출효과”
서울로 7017·세운상가 등
재개발·재건축보다 2.5배
연세대 산학협력단 분석


서울시의 주요 도시재생사업이 일자리 8만8693개를 창출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을 시행했을 때 예상되는 고용창출효과보다 2.5배 이상 높은 값이다.

시는 최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조사ㆍ분석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8일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효과를 분석한 사례는 이번이 국내 처음이다.

분석 대상은 시의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창신ㆍ숭인 등 3개소다. 


시 관계자는 “시의 공공사업으로 생기는 ‘직접고용효과’, 지역 상권 활성화에 따른 파급효과 등에 따라 발생하는 ‘간접고용효과’ 등을 종합 분석했다”며 “도시재생이 주변 민간개발, 상권 활성화를 이끌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일자리 8만8693개 중 직접고용효과와 간접고용효과로 인한 신규 일자리는 각각 5132개, 8만3561개다. 민간 개발 등에 따른 간접효과가 16배 이상 큰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1200억원을 투입한 서울역 일대에선 ‘서울로 7017’ 운영인력 등 직접고용 2078개, 간접고용 5만2150개 등 전체 5만4228개 일자리가 새로 생길 전망이다.

1000억원을 투자한 세운상가에선 직접고용 2708개, 간접고용 3만1366개 등 전체 3만4076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된다. 일대는 파급효과가 현재 확산되는 단계로 추가적인 고용유발도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어 200억원을 투입한 창신ㆍ숭인에선 직접고용 346개, 간접고용 45개 등 모두 391개 일자리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 인근 봉제산업이 살아나며 일자리 유발이 계속될 것이라는 게 시의 예측이다.

투자 대비 고용효과는 공공사업이 인근 파급으로 인한 고용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지역 고용창출효과를 투자비 10억원 당 창출되는 일자리 수로 환산하면 직접고용효과는 21.38명, 간접고용효과는 19.38명이었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도시재생사업이 재개발ㆍ재건축사업보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훨씬 크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의 김갑성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단순 비교는 힘들지만 토목건축 위주 재개발사업에 10억원을 투자할 때 고용창출효과가 8.7명이었던 점을 보면 도시재생의 고용유발효과가 2.5배 이상 높다”며 “도시재생은 건설 이후 운영ㆍ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유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직접고용효과를 보면 건설단계의 일시적인 일자리(2387명)보다 건설 이후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일자리(2745명)가 1.1배(358명)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기반형(서울역 일대), 중심시가지형(세운상가), 근린재생 일반형(창신ㆍ숭인) 등 각기 다른 3개 유형을 분석 대상지로 정해 나온 값인 만큼, 이 결과가 다양한 유형의 도시재생사업에 적용가능한 일자리 유발 분석기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작년 시범조사에 이어 올해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 지역(131개소)에 대한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할 방침이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은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1세기형 도시관리방식”이라며 “주민과 공공 등 주체들 간 협역에 따른 지역 활성화와 다양한 특화산업 유치에 따른 관광유발 효과 등 비물리적 요소를 더하면 일자리 유발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