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勞勞勞…사공 더 늘어난 파리바게뜨 사태
-해피파트너즈 제빵기사 700명 노조 출범
-대화 창구 3개로…파리바게뜨 대화 난항
-3勞 제1노조 지위 획득위한 신경전 지적도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파리바게뜨가 사태가 ‘3勞 갈등’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제빵기사 5309명에 대한 직접고용 시정지시라는 문제가 노조 간 세력 과시의 장으로 변질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해피파트너즈 노조는 3자 합작법인을 자회사로 바꾸라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계열 노조의 요구에 공식적으로 반대하기로 했다. 제빵기사들이 소속될 회사가 본사 지분이 51%인 자회사보다는 각 주체가 3분의 1씩 지분을 가진 구조가 낫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사진=‘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해결과 청년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시민사회대책위원회’가 8일 오후 서울 양재동 SPC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자회사 구성에서 협력업체를 배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해피파트너즈 노조 한 관계자는 “우리는 근로자들의 일자리 인정이 최우선이며 좀 더 나은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립됐기 때문에 양대 노조와는 다른 독자 노선을 걸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해피파트너즈 노동조합은 지난 12월 8일 강남구청에 노조 설립 신고를 하고 신고증을 받았다. 현재 조합원 수가 700명을 넘어섰으며 조합원 대부분은 고용부의 본사 직접고용 시정지시 대상이다.

이에 합작법인 주주 구성에 대한 3개 노조 입장은 각기 달라졌다. 한국노총 계열 노조는 지난 5일 열린 3차 노사간담회에서 파리바게뜨 본사는 3자 합작법인인 ‘해피파트너즈’에서 협력업체를 빼겠다고 제안한 것을 수용한 상태고 민주노총 계열 노조는 해피파트너즈를 해체하고 새로운 자회사 설립해 새로운 근로계약서를 써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합작법인의 제1노조 지위를 차지하기 위한 노조들의 신경전으로 보고 있다. 노조가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을 넘어 세(勢) 불리기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본사가 노동계의 의견을 받아들여 3자 합작법인을 본사 자회사로 바꾸기로 수용해 한노총의 동의를 얻어냈지만, 민노총은 ‘해피파트너즈의 명칭을 바꾸라’는 요구부터 시작해 이제는 사업자 등록을 취소하고 새로운 법인을 세워 근로계약을 체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이해 관계자들의 명분과 조직논리가 사태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노조부터 창구를 일원화해야 협상도 진행이 되는데 3개의 노조가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주도권 경쟁에서 벗어나 제빵기사의 처우개선과 고용안정이라는 본질을 위해 현실적 대안을 찾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의 요구를 가급적 수용하라는 입장을 취해온 고용부로서도 딜레마에 빠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노사정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고용부가 이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뿐 아니라 해피파트너즈 노조의 목소리도 들어야하는 상황이 됐다”며 “사태와 관련해 면밀한 입장 파악을 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고용부는 11일까지 ‘직접고용 거부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제빵기사에 대해 1인당 1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파리바게뜨 측은 금주 내 제4차 간담회를 열어 협의를 계속할 것으로 전해졌다.

summ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