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유 막힌 北 ‘석탄가스화’로 돌파구”
WSJ “원유의존도 줄이기 안간힘”
석탄으로 원유 수요 10% 충당
중국기업 기술 지원·시스템 공급


국제 사회의 제재로 원유 수입이 막힌 북한이 ‘석탄의 가스화’ 작업을 통해 원유 부족을 이겨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은 외국 관리와 전문가들을 인용해 석탄이 풍부한 북한이 가스로 전환하는 방법을 늘리면서 원유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의 ‘석탄 가스화’ 시스템은 최근 수년간 대거 투입됐으며 화학비료와 철강, 시멘트 공장 등의 전력과 원재료를 충당하고 있다. 이렇게 절감된 석유를 북한 군부로 돌려 군대는 연료가 부족하지 않다는 것이다.

북한의 화학비료와 유기화학제품 등의 상당 부분이 석탄의 가스화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엔의 대북 제재 이전부터 원유 의존도를 낮춰왔다고 WSJ는 밝혔다.

서울대학교에서 북한 경제를 연구하는 피터 와드는 “2016년부터 강화되어온 석탄을 이용한 화학제품 생산 정책은 영구적으로 제재를 견뎌내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의 석유, 비료 및 유기화학제품 수입은 유엔의 제재가 강화되기 전부터 감소해왔다.

WSJ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이 북한의 석탄의 가스화에 필요한 기술과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한 중국회사 관계자는 지난 7월 북한에 대형 석탄 가스화 시스템을 공급했다면서 평양 북쪽의 공업지역에 시간당 4만㎥의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북한에서 전력 지원 사업을 벌였던 미국 노틸러스연구소의 데이비드 폰 히펠 연구원은 “이 정도의 생산규모는 북한이 최근 몇년 사이 수입한 원유 및 정제 석유 제품 연간 수요의 10%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허베이카이웨그룹은 회사 사이트에 지난 6월 북한과학원의 관리 7명이 공장을 방문했으며 석탄의 가스화를 통해 메탄올ㆍ암모니아 등을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갔다고 밝혔다. 석탄의 가스화 기술은 지난 18세기 말 개발된 것이다. 주로 석탄은 풍부하지만 석유가 부족한 나라들이 경제적 고립을 당했을 때 사용했다. 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은 석탄을 합성가스로 전환해 탱크와 비행기에 연료를 공급했다. 종족 분쟁으로 석유가 차단된 남아프리카도 1980년대에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북한이 석탄의 가스화 기술로 상당기간 체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경제감시 웹사이트의 공동 편집자인 캇제프 질버슈타인은 “일부만이라도 석탄의 가스화로 지탱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북한 정권이 최소한 2~3년은 버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석탄 매장량은 약 147억t으로 추정된다. 대부분 해외로 수출됐으나 제재로 인해 석탄의 상당수가 재고로 쌓이고 있다. 보드앵대학 북한 경제 전문가 브래들리 뱁슨은 “지난해 새로운 제재로 인해 석탄 가스화가 가속화 됐다”고 말했다.

북한의 경제지표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석탄의 가스화가 북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는 파악하기 힘들다. 한국은행은 유엔 제재로 지난해 북한 경제가 3.5% 가량 축소됐을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석탄의 가스화 확대를 통해 전력을 상당 부분 충당하면서 최근 북한의 경제 사정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실제 최근 북한을 여행한 사람들에 따르면 전력 공급이 안정을 되찾았으며 농공업과 건설 등이 정상화됐다고 전했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