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월 한반도 숨가쁜 정상외교전…한미ㆍ북러 이어질 듯
-강경화ㆍ정경두ㆍ김현종 방미 총출동
-김정은, 숙고 마치고 외교행보 재개할 듯

오는 11일 한미정상회담을 비롯해 4월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프로세스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외교 움직임이 분주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작년 11월 아르헨티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에 한미정상회담을 가진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프로세스 논의가 소강기에 접어든 가운데 4월 한반도를 둘러싼 숨가쁜 외교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갖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하노이 이후 숨고르기를 끝내고 외교행보를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

▶한미, 비핵화협상 재개 방안 모색=한미 양국은 정상회담을 열흘 앞두고 사전조율 속도를 올리고 있다. 특히 한국의 외교안보라인 고위당국자들은 총출동하다시피 미국을 찾고 있어 눈길을 끈다.

취임 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한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1일(현지시간) 미측 카운터파트인 찰스 쿠퍼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을 만나 정상회담 의제를 협의한다. 정경두 국방장관도 같은 날 패트릭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과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갖고 한반도 안보정세 평가와 북미협상 견인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군사적으로 뒷받침하는 국방차원의 조치를 협의한다. 앞서 강경화 외교장관은 지난달 29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한미 외교장관회담을 열고 포스트 하노이 국면 북한 동향 공유와 향후 북미협상 재개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강 장관과 함께 방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별도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외교안보라인 고위당국자들이 이처럼 앞서거니 뒤서거니 미국을 찾고 있는 것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위기에 봉착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프로세스 여정에 있어서 중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당국자는 한미 간 한미정상회담이 하노이 이후 가장 중요한 대화가 될 것이라는 공감대를 갖고 있다고 했다.

한미정상회담의 성패는 북한 비핵화 해법을 두고 포괄적 접근을 통한 단계적 이행이라는 한국의 안과 일괄타결식 빅딜을 내세우는 미국의 안이 어떤 식으로 조율되느냐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미국은 하노이에서 북한에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FFVD)보다 한걸음 나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CVID) 내용을 담은 ‘빅딜 문서’를 제공한 상태다.

▶김정은, 중러 정상외교 주목=김 위원장도 포스트 하노이 구상을 마치고 본격적인 정치ㆍ외교행보 재개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이달 11일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회의를 비롯해 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 그리고 27일 판문점 선언 1주년 등 굵직굵직한 정치일정을 앞두고 있다. 특히 지난달 선거를 통해 새롭게 꾸려진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첫 회의에서는 헌법개정과 경제노선 채택, 조직정비 등과 함께 대외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방미를 전후해 발신하는 북한의 대외메시지는 한미정상회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북러정상회담 개최 여부도 주목된다. 김 위원장의 경호와 의전을 책임지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지난달 6박7일 일정으로 러시아를 찾아 사전정지작업을 마친 만큼 김 위원장의 방러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북러정상회담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북한은 자신들을 지지하는 입장을 확보하기 위해 러시아에 대한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며 “러시아와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평양 답방 가능성도 꾸준히 거론된다. 또 이달말 예정된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ㆍ해상 실크로드) 정상포럼을 계기로 김 위원장과 시 주석, 푸틴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북중ㆍ북러ㆍ북중러 정상회담을 연쇄적으로 가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하노이 결렬 이후 교착국면에서 정상들이 직접 나서는 4월 외교 흐름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프로세스의 큰 흐름도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