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 영업익 ‘반토막’
2분기 영업익 6조 6000억
“인위적인 감산은 없다”
주주환원 방안 발표 연기

삼성전자가 2분기 연속 6조원대의 영업이익에 그쳤다. 반도체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이 2016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영향이 컸다.

당초 기대됐던 4분기 이후 실적 개선 가능성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져 예단이 어렵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가 강화되고 있어 업황 회복을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업황 등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당초 예정했던 중장기 주주환원 방안 발표를 연기하기로 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인위적 생산 감축은 검토하지 않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31일 확정실적 공시를 통해 2분기에 매출 매출 56조1300억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15면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14조8700억원 대비 55.6%가 줄었다. 다만 지난 1분기의 6조2300억원보다는 5.8% 늘었다. 역대 최고치였던 작년 3분기의 17조5700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이다.

매출은 전분기(52조3900억원)보다 7.1% 늘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의 58조4800억원에 비해서는 4.0% 줄었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1.8%로, 전분기(11.9%)보다 더 떨어졌다. 이는 2016년 3분기 갤럭시노트7 배터리 폭발로 10.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올해 상반기 전체 매출은 108조5100억원, 영업이익은 12조83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8.9%와 58.0%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초호황기를 견인하던 반도체 부문의 부진이 뼈아팠다. 지난해 삼성전자 전체 실적의 70% 이상을 차지한 반도체부문의 매출은 16조900억원, 영업이익은 3조4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 3분기 3조3700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11조6100억원)보다는 무려 70.7%나 감소했고, 전분기의 4조1200억원에도 훨씬 못 미쳤다.

반도체 영업이익률은 21.1%로, 역대 최고치였던 작년 1분기(55.6%)는 물론 전분기(28.5%)에도 못 미쳤다. 이는 2014년 2분기(19.0%)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반도체와 함께 주력 사업으로 꼽히는 IT·모바일(IM) 부문의 부진도 크게 아쉬웠다. IM 부문은 매출 25조8600억원과 영업이익 1조5600억원을 올리며 영업이익 2조원 달성에 실패했다.

하반기 여건도 녹록치 않다.

일각에선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점차 증가하며 3분기를 바닥으로 4분기 이후 개선 가능성을 점치지만, 대외 변수의 불확실성이 더욱 짙어지고 있어 현 추세가 보다 장기화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반도체 부진 장기화와 미·중 무역분쟁에 더해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 규제 등의 여파가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장기 성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불확실한 경영 환경 아래 부품의 기술 혁신과 5G 리더십을 제고하는 등 주력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시스템반도체·AI·전장 등의 분야에서 미래 기술에 대한 투자도 지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날 올 2분기 경영실적 공시 직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이번(일본 정부의) 조치는 진행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 (영향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일각에서 제기된 메모리 생산 감축설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인위적인 웨이퍼 투입 감소에 대해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순식 기자/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