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학자들 "도쿄올림픽 욱일기 허용…오싹한 광경될 것”
일본 도쿄올림픽 조직위가 경기장에 전범기인 욱일기 응원을 허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과 관련 학자들의 우려의 목소리를 도쿄신문이 담아 6일 보도했다. 일본 우익단체가 욱일기를 동원해 시위에 나선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이운자 기자]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가 내년 올림픽·패럴림픽 때 욱일기를 허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과 관련해 일본 학자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쿄신문은 도쿄올림픽 조직위가 경기장내 욱일기 반입을 금지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이 한일 간의 “새로운 불씨”가 되고 있다며 욱일기와 관련된 역사 및 욱일기 허용 방침에 대한 비판을 6일 소개했다.

욱일기는 메이지(明治)시대(1868∼1912년) 초기에 군기(軍旗)로 정해져 제2차 대전 태평양 전쟁 패전 때까지 사용된 전범기다.

야마다 아키라(山田朗) 메이지대 교수는 욱일기에 대해 “해군 군함기로 게양된 것 외에 육군 연대기로서 (적군) 제압 후 입성 행진 때 내걸리거나 최전선에서 점령의 표시가 되거나 했다”며 “한국에서는 일본군이 탄압한 상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에서는 한반도 식민지 지배의 기억이 희미해졌기 때문에 욱일기를 둘러싼 역사 인식에도 어긋남이 생기고 있다”며 욱일기를 대하는 한일 양국의 태도가 다른 이유를 분석했다.

도쿄올림픽 조직위나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의 욱일기에 대한 인식과 설명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학자들은 지적했다.

아케도 다카히로(明戶隆浩) 도쿄대 대학원 특임교수(사회학)는 “욱일기를 단순히 아침 해를 표현한 깃발로서 널리 받아들인다는 것은 속임수”라며 “현실을 보면 자위대나 혐오 시위, 우익 선전차에 등장하는 것이 좁은 의미의 욱일기”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에 욱일기가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혐오 발언)’ 시위에서 일장기보다 험악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강력한 아이콘이 된 현실 등을 거론했다.

아케도 교수는 결국 욱일기에 침략의 역사, 내셔널리즘 등이 포함될 수밖에 없으며 경기장에서 이를 허용하는 것은 한국 선수와 관광객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경기장에 욱일기가 대거 내걸리는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을 거론하며 “세계로부터 ‘전전회귀(戰前回歸)’라고 비난받고 일본인으로서도 오싹한 광경이 될 것”이라며 “조직위가 욱일기를 가지고 (경기장에) 들어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메시지 정도는 내놓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2017년에는 한국에서 열린 수원 삼성과 가와사키 프론탈레(일본)의 경기 때 일본 팬이 욱일기를 내 걸었다가 관중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결국 아시아 축구연맹(AFC)이 벌금 등의 처분을 내렸다.

이치노세 도시야(一'm瀨俊也) 사이타마(埼玉)대 교수(일본 근대사)는 “욱일기는 그 디자인 때문에 전후 자위대에 계승돼 타국으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됐다”며 “일본 측이 아무리 널리 사용된다고 설명해도 국제적으로는 일본 팽창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평화의 축전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yi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