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건 이어 美CRS도 ‘한일 핵무장’ 잇단 거론…속내는?
8일(현지시간)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 특별대표가 한일 핵무장 가능성을 언급한 데 이어 미국 의회조사국 보고서에서도 이들 동맹국들의 자체 핵무장 필요성을 언급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운자 기자]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 특별대표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가능성을 언급했다. 같은 날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서도 미국의 핵 억지력에 대한 신뢰가 부족할 경우 동맹들이 자체 핵무장 필요를 느낄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특히 한국과 일본을 거론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8일(현지시간) CRS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으로 업데이트한 ‘비전략 핵무기’보고서는 “많은 분석가는 (미국의) 동맹들이 미국 핵무기의 신뢰성을 자신하지 못하면 할 수 없이 그들 자신의 핵무기를 획득해야 한다고 느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한 계산은 일본과 한국에서 명백할지 모른다”며 “왜냐하면 이들 국가는 중국이나 북한처럼 핵무장한 이웃으로부터 위협과 협박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보고서가 나온 날은 비건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미시간대 강연에서 북미 협상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핵 무장론이 제기될 가능성을 언급한 날로, 한일 양국의 핵무장에 민감한 중국을 향해 북한 비핵화 해결에 나설 것을 압박한 날이기도 하다.

물론 CRS 보고서는 미국과 러시아가 비전략 핵무기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작성돼 북한의 비핵화 실무협상 재개를 촉구하는 비건 대표의 강연과는 목적이 다르지만, 같은 날 미 행정부 인사와 의회 보고서가 비슷한 우려를 드러낸 셈이어서 주목된다.

yi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