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민, 서울 내집마련 21.1년 필요…文정부서 4.7년 증가"
-7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 분석 자료
-"文 정권서 쏟아낸 주거 대책, 부담만 가중"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문재인 정권 2년간 서민의 내 집 마련 기간이 전국적으로 4.7년 늘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7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통계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2015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소득 분위별 PIR(연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 배수)을 산출해보니 전국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PIR은 문 정권이 출범한 2017년 2분기 16.4에서 올해 2분기 21.2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저소득층 서민 가구의 내 집 마련 기간이 2년 전보다 전국적으로 4.7년 늘어난 것이다.

PIR이 21.1이란 것은 1년 소득을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21.1년은 모아야 자기 집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다.

PIR은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준다. 이에 집값 체감 지표로도 활용된다. 이번 조사에서 PIR 산출을 위한 주택구매가격은 분기별 전국(해당지역) 아파트 평균 값을 기준으로 했다는 게 김 의원실의 설명이다.

전국 1분위 가구의 PIR은 2015년 1분기(14.6)부터 이듬해 4분기(17.0)까지 완만히 상승했다. 문 정권 출범하기 직전 분기와 출범 당해인 2017년 1·2분기엔 16.4로 하락했다.

하지만 정권 출범 직후인 2017년 4분기에 17.2로 오른 것을 기ㅓㅁ으로 지난해 1분기와 올 1분기에 각각 20.0, 22.2를 기록하며 상승세에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PIR은 2017년 2분기 2.8에서 올 2분기 3.0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에 1분위와 5분위 간 PIR 격차는 2017년 2분기 13.6에서 올 2분기 18.1로 껑충 뛰었다.

특히 서울에선 소득 1분위 도시 가구가 평균 가격대 아파트를 사는 기간이 2017년 2분기 33.1년에서 지난 2분기 48.7년으로 15.6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 5분위 가구는 같은 기간 5.7년에서 6.9년으로 1.2년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1분위와 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7.4에서 41.8로 대폭 늘어났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주거 정책이 서민의 주택 구매 기간을 4년, 서울은 15년 이상을 늦췄다"며 "정부가 그간 주거 대책을 쏟아냈지만 결과적으론 저소득층 부담만 높인 꼴"이라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