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경화 “남북미 대화 동력 창출 위해 노력…전략적 소통 발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위한 주변국 지지 확보”
-주요 성과로 신북방ᆞ신남방 정책 내세워
-“대화와 협의 통해 한일간 문제해결 노력”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남북미간 대화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정착을 위한 대화 기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간의 외교적 성과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강 장관은 정부의 역점 사업인 ‘신남방’ᆞ’신북방’ 정책 성과와 함께 주변 4국과의 관계 강화를 주요 목표로 제시했다.

강 장관은 24일 오전 외교부에서 브리핑을 열어 그간의 주요 외교 성과를 설명하며 “우리 정부는 지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종료된 이후에도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로서 남북미간 대화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말했다.

‘남북미 정상 간의 신뢰’를 강조한 강 장관은 “북미 정상의 지속적인 대화 의지는 지난 6월말 판문점에서의 역사적인 남북미 정상간 회동으로 이어졌다”며 “이번 달 초 스웨덴에서 개최된 북미 실무협상을 위한 여건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달 유엔총회를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피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이 이뤄진 것에 대해서는 “한미가 싱가포르 합의 정신을 재확인했다”며 “70년 대북 적대관계 종식의지를 표명하는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비롯하여 우리 정책에 대한 주요국들의 협력과 지지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또 ‘전쟁불용’과 ‘상호간 안전보장’, ‘공동번영’을 강조한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다시 언급하며 “문 대통령은 ‘DMZ 국제평화지대’ 구상을 제안했다. 이는 비무장지대 내의 활동에 국제사회가 참여함으로써 남북 상호간의 안전을 보장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이루기 위한 제안”이라고 했다.

문 정부의 핵심 외교 정책인 ‘신남방 정책’과 ‘신북방 정책’에 대해 강 장관은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취임 2년 만에 아세안 10개국을 모두 방문하며 신남방 정책의 안정적인 추진 기반을 공고히 했다”고며 “지난 2월에는 한-러 정상간 합의된 ‘9개 다리 행동계획’ 서명을 진행하는 등 러시아 극동지역과 경협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환동해 연계성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강 외교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 장관은 “한미 양국간에는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주요 현안들을 호혜적으로 해결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과도 양국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전략적 소통을 한층 더 심화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한일간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 경주해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