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르포]17년 간 1위 명동…“향후 10년간 최고 땅값 이어갈 것”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표준지 공시지가 ㎡당 2억원
대기업 랜드마크 즐비하고 쇼핑의 중심지 명동
늘어난 보유세 만큼 임대료 상승 우려도 높아
국토교통부가 지난 12일 발표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에 따르면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는 ㎡당 공시지가가 1억9900만원으로 평가됐다. [사진=민상식 기자]

[헤럴드경제=민상식·양영경 기자] 겨울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지난 12일 서울의 쇼핑 일번지 명동 거리는 평소보다 한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한 달 전보다 거리의 관광객이 절반 이상 줄어든 게 확연하게 눈에 띄었다. 마스크와 우산을 쓴 관광객 일부만 보일 뿐, 화장품·의류 매장 안은 손님 없이 텅텅 비었다.

20년 넘게 명동에서 공인중개사로 일한 A대표는 “명동 대로변 가게는 매장 면적 50㎡ 기준 한달 임대료가 1억원이다. 15년 전보다 임대료가 3배 상승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명동은 화장품 가게가 전체 매장의 90%가 넘는다. 몇 년 전부터 중국인들이 화장품을 싹쓸이하면서 명동의 임대료 상승을 이끌어왔다”고 설명했다.

▶17년째 가장 비싼 땅 네이처리퍼블릭=이 지역 공인중개업소와 화장품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2004년부터 17년 째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인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임대료는 보증금 60억원·월세 3억원으로 추산된다. 2009년에는 보증금 25억원·월세 1억4500만원에서 10년새 보증금은 35억원, 월세는 1억5500만원 급등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중저가 화장품브랜드인 네이처 리퍼블릭이 이런 고가의 월세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많을 정도다.

이날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에서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상위 10위 자리를 중구 명동과 충무로 일대 상업지역 토지가 휩쓸었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는 ㎡당 공시지가는 1억9900만원으로 평가됐다. 지난해(1억8300만원)보다 8.74%(1600만원) 상승했다. 서울 중구 명동길 우리은행 명동지점 자리(392.4㎡)가 2위로 ㎡당 공시지가는 지난해 1억7750만원에서 올해 1억9200만원으로 올랐다.

한 중개업자는 “땅값을 정하는 표준지 공시지가는 임대료와 연동된다. 임대료가 높은 명동의 공시지가가 해마다 6~8%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명동은 강남과 홍대 앞 등 ‘서울 3대 상권’ 보다 땅값이 3~4배 높다.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서울 강남구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부지는 올해 공시지가가 ㎡당 6500만원이다. 서울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한 롯데타워는 ㎡당 4700만원이다.

서울 중구 명동길 우리은행 명동지점 자리(392.4㎡)가 표준지 공시지가 상위 2위로 ㎡당 공시지가는 지난해 1억7750만원에서 올해 1억9200만원으로 올랐다. [사진=민상식 기자]

명동에서 10여년 근무한 중개업자들은 대기업의 랜드마크 건물이 즐비하고 쇼핑의 중심지로 대표성을 가진 명동의 땅값이 앞으로도 최고가 자리를 지킬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지역 중개소 B대표는 “해외 뉴스나 관광책자에서도 명동은 반드시 방문해야 할 장소로 소개되고 있다”면서 “서울역과 경복궁 등 접근성도 뛰어난 명동은 앞으로 10년간은 1등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진원창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리서치팀장은 “코로나19 등 중국발 이슈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기업들이 브랜드·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는 여건으로 봤을 때 명동만큼 좋은 곳을 찾기 쉽지 않다”면서 “공시지가 상위를 차지하는 명동 상권의 순위가 몇 년새 바뀔 것 같지는 않다”고 밝혔다.

▶임대료 오를까…매출 감소에 우려 섞인 목소리=하지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여파에 이어 코로나19 영향으로 최근 명동상권이 예전만 못하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적지않다.

이 지역 한 중개업자는 “코로나19 이후 눈에 띄게 관광객이 줄고 있다. 중국인 등 해외 관광객들의 화장품·의류 수요도 예전 같지 않다”면서 “이미 명동 상권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관광객이 줄면 가장 먼저 타격 받는 곳이 대로변에 즐비한 화장품 매장들이다. 명동 주요거리에 있어 임대료가 비싼데 매출이 떨어지니 임대료 감당이 어렵다는 게 해당 업주들의 설명이다.

높아진 땅값 만큼 보유세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그만큼 세입자에게 전가될 가능성도 높다. 국토부가 추산한 자료에 따르면 네이처리퍼블릭 건물주의 올해 보유세는 지난해 대비 4968만원 오른 1억4905만원으로 추산된다. 보유세 증가율 상한(50%)을 적용한 수치다. 이보다 넓은 우리은행 명동지점은 1억2893만원 오른 3억8679만원으로 예상된다.

명동 의류 매장의 한 상인은 “보유세가 늘어나는 만큼 상가 주인들이 임대료를 올릴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크게 줄어 매출이 절반가량 떨어졌는데 벌써부터 임대료가 얼마나 오를지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는 주거용(7.70%)의 상승률이 평균(6.33%)보다 높고, 상업(5.33%)용은 작년(12.38%)에 비해 상승률이 절반으로 둔화되긴 했다”면서 “그러나 상가‧사무실 부속토지 등 별도합산 토지의 보유세 부담이 세입자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이나 임대료 전가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m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