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소경제 기업사절단’ 독일 방문 무산…‘한국 입국 제한’에 해외진출 ‘빨간불’
제조·관광분야도 정부 추진 사절단 잇단 취소
외교부 “전세기 투입까지 언급하며 설득”
기업들은 “해외지원기관 적극 활용” 건의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며 기업의 해외 진출에 빨간불이 켜졌다. 외교당국이 기업인들의 해외 진출 지원에 발 벗고 나섰지만, 정부 주도의 기업 사절단 계획까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소되며 기업들은 “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13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4일부터 시작되는 ‘2020 베를린 에너지전환 대화’에 맞춰 국내 주요 수소에너지 기업 10여 곳을 중심으로 ‘수소경제 협력 기업 사절단’ 구성을 기획했다. 그러나 최근 유럽 내 코로나19 확산에 국내 기업인들의 현지 방문이 강화된 검역 조치로 어려워지며 정부는 최근 사절단 구성 계획을 백지화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수소에너지 관련 사업을 그간 강조해왔던 만큼 행사를 계기로 다른 기업들과의 교류 협력에 도움이 되고자 했었다”며 “그러나 독일이 코로나19를 이유로 행사를 취소하고 해외 기업들도 만남을 꺼리며 관련 계획이 사실상 취소됐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 역시 “최근 주최 측으로부터 코로나19 탓에 올해 행사가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이와 같이 준비하던 기업 사절단 역시 결국 취소됐다”고 했다.

수소경제 기업 사절단의 경우뿐만 아니라 제조업과 관광 분야 등 정부가 추진해온 다른 사절단 구성 계획도 최근 줄줄이 무산됐다. 정부 관계자는 “상대국 측에서 우리 기업인들과의 만남을 연기하자는 요청을 해온 경우도 있고, 아예 현지 입국이 어려워진 경우도 있다”며 “최근에만 하더라도 3~4개의 계획이 동시에 무산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인의 해외 진출에 빨간불이 켜지며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우리 기업인들이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한 나라들에 입국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보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유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급증하며 협상이 어려운 상황이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각국에서 입국 예외에 제한을 두는 등 우려가 큰 상황으로, 우리 측에서는 입국 예외 인원을 위한 전세기 동원과 건강진단서 지참, 별도의 격리 계획까지 제안하며 설득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외교부의 노력에도 기업인에 대한 입국 제재가 좀처럼 풀리지 않자 재계 단체들은 정부에 추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날 정부에 30개 과제로 구성된 ‘코로나19 경제적 충격 극복방안’을 전달한 대한상공회의소는 주요 거래국의 한국인 입국 제한 관련 애로를 해결해 달라며 해외지원기관 활용 강화를 주문했다.

윤정석 대한상의 글로벌경협전략팀 연구원은 “외교부가 건강확인증과 검역신고서 등을 통한 입국 예외조치 확대를 위한 협상을 각국과 진행 중이지만, 아직 소수 국가에 한정돼 있다”며 “그나마 나라마다 양식이 달라 실제 입국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이 때문에 현재 무역관이 파견된 38개 국가에 대해 정부가 마케팅 대행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데, 무역관이 파견되지 않은 국가가 훨씬 많다” 며 “정부가 나서 현지 인력을 적극 활용해달라는 내용의 건의를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유오상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