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의도연구원 “공시가 현실화율 목표 80%로 낮춰야”
‘공시가 현실화율 90%’ 정부 로드맵 비판
“공시가 변화로 중산층 건보료 부담 증가”
정부가 2030년까지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90%로 맞추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힌 지난달 27일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은 12일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시가격 현실화 목표를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의도연구원은 이날 발행한 ‘이슈 브리프’ 보고서에서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9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정부 로드맵을 비판하며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는 9억 원 미만 인천 송도 아파트를 예로 들어 현실화율을 80%, 도달 기간을 20년으로 늘린다면 2030년 세부담이 정부안 대비 24%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또, 공시가격 변화로 인해 중산층 이상의 건강보험료 부담이 증가한다며 “자영업자 등의 소득 파악률이 크게 개선된 만큼 건보료 부과 기준을 재산 중심에서 소득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국제적으로 재산을 기준으로 건보료를 내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 뿐이라는 지적도 내놨다.

정부가 6억 원 이하 1주택자의 세금 부담을 낮추겠다고 한데 대해서는 “편 가르기식 증세”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시지가와 관련된 각종 세제 항목에 대한 개편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편 방향으로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세 비중을 OECD 평균 수준을 제시했다. 공시가격을 결정할 때 국회의 동의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도 조언했다.

보고서는 “현재 정부 독단의 공시지가 결정 방식은 조세법정주의 원칙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며 “‘꼼수 증세’의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차단할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