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은 ‘삼성 전세기’ 입국 거부하는데…외교부 “신속통로 중단은 아니야”
“상황 파악 중…中과 소통 적극 추진”
中, 코로나19 이유로 기업인 입국 막아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중국이 오는 13일 시안(西安)과 톈진(天津)으로 떠날 예정이던 삼성전자의 전세기 두 편을 모두 취소시키며 “한중 기업인 신속통로(패스트트랙) 제도가 중단됐다”는 우려가 이어지자 외교부가 “전면 중단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12일 삼성전자 전세기 취소와 관련해 “중국 측과 구체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한중 신속통로 제도 운영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외교부는 “최근 중국 내 해외유입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측이 중국행 모든 입국자에 대해 검역 강화 조치를 시행했다”며 “우리 정부는 중국의 강화된 입국 검역 절차로 인해 우리 기업인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중국 측과의 소통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했다.

외교부 관계자 역시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패스트트랙이 끝난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방역 상황으로 입국 조치가 강화됐고, 현재 전세기가 들어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한중 패스트트랙 제도에 따라 톈진과 시안에 직원 파견을 위한 전세기 운영을 준비 중이었는데, 중국 민항국이 이를 모두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양국 기업인의 신속한 입국과 경제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패스트트랙 제도를 운영 중인데, 제도에 따라 입국하는 우리 기업인은 중국 내에서 14일 동안의 의무격리 등의 방역 조치를 면제받는다.

그러나 중국이 최근 해외 코로나19 확진자 유입을 우려해 방역 조치를 대폭 강화하며 패스트트랙 제도 운영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1만여 명의 우리 기업인이 패스트트랙 제도를 통해 중국에 입국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