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낙연 “‘‘싱가포르 합의’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출발”…김태년 “한일 회담 조기 개최해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babtong @heraldcorp.com

[헤럴드경제=이현정·홍승희 기자]더불어민주당은 13일 한미 양국의 협력 하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개하는 동시에 한일 정상회담을 조기 개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간의 통화를 언급하며 “양국이 힘을 합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길 바란다”며 “그 출발점은 2018년 북미 싱가포르 합의 재확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싱가포르 합의는 역사상 최초로 이뤄진 북미 정상 간 합의”라며 “절차적으로도 정당성과 권위를 가지며 내용도 남북한과 미국이 모두 동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싱가포르 합의의 4개항은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한반도의 평화 체제 구축,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한국전 당시 미군 유해 송환”이라면서 “그것이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유지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한일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 필요성을 피력했다.

그는 “최근 일본 스가 내각이 출범한 이후 현안 해결을 위해 한일 간의 정치인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점은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한일 관계는 역사를 경제에 귀속시킨 아베 신조 전 총리에 의해 경색됐다. 이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한일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가 바람직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연말 우리나라가 개최할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에 일본이 조건 없이 참여해서 자연스럽게 한일 정상회담 개최하는 결정이 필요하다”며 “연내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되면 역사 문제를 매듭짓고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정립해나가는 한일 신시대 선언 2020을 채택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 배상 등 과거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한일 관계 특성상 과거와 미래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일 양국은 과거의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새로운 비전과 가치를 추구해나가야 하는 숙명을 안고 있다”며 “우리는 일본이 과거 징용 문제에 대한 사법부 판결을 존중해 진정성 있는 해법을 마련하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내년 일본 도쿄 올림픽이 코로나19 에 지친 전 세계인을 위로하는 행사가 되길 기대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 역사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스가 내각의 대담하고 전향적인 결정을 기대한다”고 했다.

re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