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데이터] “한일 갈등 해소” 특명…주일대사 강창일…4선 의원 출신 ‘일본통 정치인’에 기대감
박지원 국정원장 등 분위기 반전 이어
‘대일관계 개선’ 전환점 이룰지 주목

“어려운 시기에 경색된 한일문제를 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24일 정치권과 외교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새 주일대사에 일본통인 강창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내정한 것은 경색된 한일관계를 적극적으로 풀기 위한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지난 9월 출범한 일본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내각에 보내는 일종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강 내정자는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한 뒤 도쿄(東京)대로 유학해 동양사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배재대 일본학과 교수, 도쿄대 객원교수로 재직하다가 17대 총선에서 제주시갑 지역구에서 당선돼 20대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다.

국회에 입성해서도 일본 관련 활동에 앞장서왔다. 그는 2012년부터 한일의원연맹 부회장과 간사장을 역임한 뒤 2017년에는 회장 자리까지 올랐고, 국회를 떠난 현재 명예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일본통’ 강 내정자를 발탁한 이유이기도 하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강 내정자에 대해 “일본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고 학계에서 오랜 기간 일본 연구한 역사학자”라며 “특히 4선 국회의원 경력의 정치인으로서, 의정활동 기간에는 한일의원연맹 간사장과 회장을 역임한 일본통”이라고 평가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일본에 새로운 내각이 출범함에 따라 ‘한일관계를 풀어보겠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인사”라며 “강 내정자가 한일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고, 한일의원연맹 간사장과 회장을 역임하면서 고위급 네트워크를 쌓아왔다. 그래서 이번에는 정통 외교관보다는 정치인 출신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강 내정자의 인선을 발표하기 하루 전인 지난 22일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 철회를 위한 대화를 조건으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통보의 효력을 정지한 지 꼭 1년이 됐다. 한일관계는 여전히 개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한국이 수출관리 제도에서 여러 조치를 했음에도 일본의 수출규제는 계속되고 있는 데다 한일 정부 간 쟁점 사안인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에서 해법 마련이 요원한 상태다. 최근 정부와 여권 고위급 인사가 일본을 연이어 방문하며 분위기 반전을 꾀하고 있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지난 10일 스가 총리를 예방한 자리에서 ‘김대중-오부치 선언’에 이은 새 한일 공동선언을 제안했다.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지난 13일 스가 총리를 만나 강제징용 문제는 더 악화하지 않도록 ‘봉합’하고 양국 국민감정이 호전되도록 도쿄올림픽 등 다른 분야 교류·협력을 강화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강 내정자의 역할은 한일관계뿐 아니라 한미, 남북관계 개선과도 연계돼 있다. 내년 1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다는 점도 문 대통령이 주일대사 교체를 통해 한일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게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외교가에선 바이든 행정부가 오바마 행정부와 마찬가지로 한·미·일 협력을 중요시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과 전략적으로 경쟁하는 미국에 전통적인 한·미·일 3각 협력의 중요성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내년 개최 예정인 도쿄올림픽이 열린다면 이를 지렛대 삼아 북한을 다시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 내자는 게 문 대통령의 의지다. 강문규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