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DGIST, 美 국립암연구원과 ‘난치癌’ 극복 공동연구 착수
- 암 유전단백체 빅데이터 생산 및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 표준화 협력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경희대학교와 공동으로 미국 국립암연구원과 암 연구를 위한 공동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의 암 단백체 분석 연구 기술과 미국 국립암연구원이 협력해 암 극복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전망이다.

협약의 주요내용으로는 ▷국제 표준 유전단백체 연구 기술의 공유 ▷유전단백체 데이터 분석 및 해석 프로토콜 공유 ▷암 조직 시료 처리 방법 및 연구 내용 공유 ▷유전단백체 데이터 수집 및 공유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암은 전체 사망원인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전년도 통계청 조사에서 암은 한국인 사망원인 1위를 기록했다. 세계적으로도 높은 사망원인 중 하나인 암 질환은 유아, 청소년을 비롯한 전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해 그 사회적 비용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류 공통 목표인 암 정복을 위해 지난 2016년 미국을 중심으로 미국 국립암연구원 내 국제암유전단백체컨소시엄(ICPC)이 발족됐다. ICPC는 현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부통령 재임시절 발족한 암정복 프로젝트인 캔서문샷을 국제적 협업 수준으로 확장한 컨소시엄이다.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암 연구를 위해 본 컨소시엄에 약 10억 달러(한화 약 1.2조원)를 투자했다.

현재 총 13개국 33개 연구기관들이 ICPC에 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으로 DGIST가 국내에선 4번째 ICPC 공식회원 기관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는 암 단백체 연구 분야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은 결과로써, 국내 4대 과학기술원 중에서는 첫 사례다.

이를 통해 DGIST와 경희대는 암유전단백체 빅데이터 생산 및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 표준화 연구와 더불어 삼중음성 유방암을 비롯한 폐암 및 난치성 암치료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식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한 세계 유전단백체 연구자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핵심 연구 및 인력 교류를 활발히 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며 가까운 미래에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핵심 역할을 함으로써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