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굴기에 흔들리는 ‘R&D 코리아’
전경련, 국가별 R&D 투자비중 분석
韓 기업 2014년 1위 이후 하락세
중국은 정부 지원 세계2위로 약진
“삼성·ICT 의존…한국, 갈 길 멀어”

중국의 ‘기술 굴기(?起)’로 전 세계 연구개발(R&D) 투자에서 한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R&D 기업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세계 2500대 R&D 기업 중 한국 기업 수는 2014년 80개에서 2019년 56개로 24개 줄었다고 2일 밝혔다.

전 세계 R&D 금액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9%에서 3.6%로 0.3%포인트 뒷걸음질쳤다.

한국은 201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율이 세계 1위(4.29%)를 기록하며 글로벌 R&D에서 최고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중국 기업들이 급부상하면서 ‘R&D 코리아’ 자리는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전경련은 중국이 2015년 ‘중국제조 2025’이라는 국가전략 수립 후 중국 기업들이 기술 굴기(우뚝 섬)를 추진한 데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계 2500대 R&D 투자기업 중 중국 기업 수는 2011년 56개에서 2019년 536개로 480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R&D 투자액도 연평균 30.8% 증가해 201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해 세계 2위로 뛰어올랐다.

중국이 부상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자금 지원이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14~2018년 매출액 대비 정부 지원금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5개 반도체 기업 중 3개가 중국이었다.

한국 기업의 R&D 투자가 반도체 등 일부 정보통신기술(ICT) 품목에 편중되고, 특정기업 의존도가 높은 것도 위상이 약화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2019년 2500대 R&D 기업에 진입한 한국과 중국, 일본 기업의 업종별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ICT 제품 비중이 58.9%에 달했다.

반면 ICT 서비스, 헬스케어 등 신성장분야에 대한 R&D 투자 비중은 낮았다. 이 2개 분야의 R&D 투자 비중은 중국과 일본이 각각 23%, 17%였으나 한국은 4%에 불과했다.

또 2019년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의 R&D 투자 1위 기업이 자국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한국의 삼성전자는 47.2%나 됐다.

반면 미국 알파벳(7.5%)이나 중국 화웨이(16.4%), 일본 도요타자동차(7.9%) 비중은 이보다 낮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반도체 등 ICT 제조업 분야에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으나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업 분야에선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기업 R&D 투자환경을 개선해 신산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일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