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굴뚝기업 발행이 대부분 차지”…韓 ESG채권 사이비 주의보?
조달 이후 사용처 검증 부족
한전, 해외 석탄발전소 투자
“평판 해치고 수요 위축시켜”

한국 ESG(환경·사회·지배구조)채권 시장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탈석탄·친환경 산업에 투자를 목적으로 녹색채권(Green Bond) 발행은 급증하는데, 해당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이 당초 사용목적과 다르다는 의혹이 짙어지면서다.

25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들이 발행한 녹색채권은 105억 달로 규모로 아시아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크다. 녹색채권을 발행한 한국 기업들은 대부분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굴뚝산업(smokestack industry)에 속해 있다는 것이 불름버그의 설명이다.

스웨덴 비영리 환경단체 AFII의 설립자 울프 얼란드슨(Ulf Erlandsson)은 “한국 녹색채권의 절반 이상이 자동차, 화학, 전력생산, 석유 및 가스 관련 업체에서 발행된다”며 “잠재적으로 논란이되는 분야”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그린워싱 의혹이 글로벌 투자시장에서 한국 ESG채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의 경우 전형적인 굴뚝산업 중심의 수출 의존적인 경제구조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녹색채권 등 ESG 채권을 통해 조달한 자금의 사용이 더욱 철저히 관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으로 한국전력은 지난해 녹색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5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석탄화력발전소에 투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른바 ‘그린워싱’이 한국 녹색채권 시장의 평판을 해쳐 글로벌 수요를 위축시키는 것을 막기 위헤서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블룸버그는 K-택소노미(Taxonomy),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등 한국 정부의 ‘그린워싱’ 차단 방안이 구속력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가이드라인은 녹색채권 발행 전 외부 검토는 의무화했지만, 채권 발행 사용처에 대한 확인이나 그에 따른 등급 부여는 선택 사항일 뿐이다. 외부 검토 주체에 대한 자격도 명확하지 않다는 게 블룸버그의 지적이다. 이승환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