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협로부터 주차까지…현대모비스 ‘도심형 자율주행’ 개발
초음파 센서 기반한 통합 시스템
골목 좌우 40㎝ 공간에서도 작동
이면도로 많은 국내·외 도심 특화
현대모비스 서산 주행시험장에서 연구원들이 관련 기술이 장착된 차량을 시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현대모비스는 협로주행, 후방자율주행, 원격 자동주차 기능 등을 통합한 도심형 운전자편의시스템(ADAS)인 ‘차세대 주차 제어시스템(MPS·Mobis Parking System)’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면도로가 많고 주차 환경이 비좁은 국내와 유럽 등지에 특화된 도심형 자율주행 기술이 핵심이다. 향후 목적기반 모빌리티(PBV)에도 적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운전자가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차량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해 주행하거나, 지하 주차장의 회전식 출입구를 통과하는 식이다. 차량 2대가 대치한 막다른 골목에서는 후진 자율주행으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

현대모비스는 독자 개발한 소프트웨어 로직과 양산 중인 초음파 센서를 기반으로 이 기술을 개발했다. 레이더(Radar)나 라이다(Lidar) 센서가 고속주행이나 먼 거리에 위치한 사물을 인식하는데 유용하지만, 좁은 골목이나 지하주차장에서는 오히려 초음파 센서가 적합한 데서 착안한 아이디어다.

‘협로주행’ 역시 주목할 만한 기능이다. 차량 전폭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40㎝의 여유 공간만 있으면 좁은 골목에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 전폭은 차체를 기준으로 자동차의 폭을 의미한다. 사이드미러를 펼치면 사실상 한 뼘 정도의 공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또 다른 주요 기능은 ‘후방자율주행’이다. 협로주행과 마찬가지로 버튼만 누르면 막다른 골목에서 후진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내 차의 주행 경로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버튼을 누르면 스스로 후진 경로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스티어링 휠(핸들)과 차량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차에서 내려 리모컨을 누르면 빈 공간을 찾아 직각이나 평행으로 주차하는 ‘원격 자동주차 시스템’, 내 차 주변 360도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3D 써라운드 뷰 모니터’,‘후방충돌 방지’ 등도 탑재했다. 도심에서 여유롭지 않은 주차 환경을 고려한 저속주행 기술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목적기반 모빌리티로 대표되는 미래차 신규 시장을 선도하고자 다양한 도심형 자율주행 신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