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시재생 해제되고, 흔적남기기 사라지고…빨라지는 서울시 개발 시계 [부동산360]
자양2구역 골목길 재생사업 해제 시작…재개발 걸림돌 사라져
15일 도계위에선 개포주공1·4단지 흔적남기기 백지화 논의
12월 서울시 신통기획 사업지 발표에 신청지역들 ‘촉각’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인 벽화 그리기의 흔적. 사진은 종로구 창신동.[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서울시의 개발 시계가 차츰 속도를 내고있다. 서울시 내 아파트 재건축 진행 시 옛 아파트의 일부를 남기는 이른바 ‘흔적남기기’ 사업을 백지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골목길 재생사업 또한 1호 해제 사례가 나왔다. 시가 새로 추진하는 ‘신속통합기획’이 적용되는 사업지는 이달 말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12일 정비업계와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강남구 개포주공 1단지와 4단지의 단지 내 ‘미래문화유산’에 대해 ‘전면철거’를 진행하는 안건을 오는 15일 열리는 도시계획위원회(이하 도계위)에 상정했다. 또한 최근 광진구 자양동 뚝섬로30길 일대(능동로 골목시장 등)와 성북구 성북동 선잠로 2가 일대(성북동 참새마을)에서 골목길 재생사업 선정을 철회하면서 보존보다는 개발에 방점에 찍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노후아파트 단지의 일부를 남기는 ‘재건축 흔적 남기기’ 사업은 개발 초기 아파트의 생활 양식을 보존해야한다는 논리로 박원순 전임 시장 시절 서울시가 추진했던 사업이다. 재건축이 이루어지는 단지에서 옛 아파트 1~2개동을 미래문화유산으로 존치한다. 현재까지 잠실주공 5단지와 반포주공 1단지, 개포 1·4단지 등 4곳에 이같은 계획이 반영돼 있다.

노후아파트 단지의 일부를 남기는 ‘재건축 흔적 남기기’ 사업은 개발 초기 아파트의 생활 양식을 보존해야한다는 논리로 서울시가 추진했던 사업이지만, 지자체와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용도 폐기 신세로 전락했다.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인 개포주공4단지 현장 주변으로 존치 예정인 445동 건물이 보인다. [박해묵 기자]

때문에 지난해 11월 착공에 들어간 개포주공4단지(개포프레지던스자이) 2개 동은 여전히 철거하지 못한 상태다.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서울시는 전면철거에 대해서 난색을 표해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내부적으로 주무부서 검토의견의 형식을 통해 ‘전면철거’로 사실상 시의 입장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세훈 시장은 후보 시절인 지난 4월 “주민반발이 거센데 과연 누구를 위한 흔적 남기기인가”라며 해당 사업 폐지를 약속하기도 했었다. 주공4단지와 힘께 주공1단지(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또한 1개동(15동)을 두고 전면철거와 기타 방안 사이에서 결론이 날 예정이다.

마찬가지로 노후 주택가 등에 적용됐던 골목길 재생사업도 점진적으로 폐지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성북동은 2018년, 자양동은 2019년 각각 골목길 재생사업지로 선정됐다.

박노경 자양2구역 재개발 추진위원장은 “주민 의견 수렴없이 시가 지정한 것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발이 커서 벽화그리기 등의 사업이 실제로 진행되지는 못했다”면서 “하지만 예산중복 투입 문제로 인해 재개발 사업은 엄두를 못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6월 신임 시장이 취임하고 서울시는 골목길 재생사업에 한해 사업을 철회할 수 있도록 내부 지침을 마련했다. 자양2구역은 6월 말 해제신청을 했고, 10월 중순께 해제통보를 받았다. 지난달 27일 시가 이와 같은 내용을 고시하면서 공식적으로 도시재생사업에서 벗어나게 됐다.

한편, 자양2구역은 민간재개발사업인 서울시 신통기획에 주민동의율 55.3%을 모아 신청했다. 마찬가지로 종로구 창신동 등 신통기획에 신청했지만 도시재생사업지로 남아있는 지역들에서도 철회 요청이 줄이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울 시내 38곳에서 골목길 재생사업지로 지정된 상태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