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영업·부동산 대출 부실 위기… 당국 “충당금 적립 강하게 압박할 것”
코로나에도 충당금 적립 거의 안늘어
만기연장·상환유예로 부실채권 숨은 탓
3월 코로나 지원 종료하면 부실 현실화
금리 인상에 부동산 대출도 부실화 우려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금융당국이 올해 은행 등 금융사에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를 강하게 요구할 계획이다.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등 자산 가격 조정이 예상되고, 대출 만기 연장 등 코로나19 대응 지원 조치가 종료됨에 따라 본격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17일 “올해는 금융사에 충당금 적립을 강하게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주시하고 있는 금융시장 주요 리스크는 차주별로 ▷가계 부채 ▷자영업자 대출 건전성이고, 금융사별로 ▷은행 등의 충당금 ▷제2금융사의 자금운용 장단기 미스매치(단기로 자금을 조달해 장기 자산으로 운용하는 것) 및 레버리지 거래 등 네 가지”라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손충당금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쓰기 위해 미리 쌓아두는 돈을 말한다. 은행은 대출채권 부실 위험을 5단계(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나눠 단계별로 일정 비율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3개월 이상 연체한 대출 가운데 회수 가능성이 있는 ‘고정’은 대출액의 20% 이상, 돈 떼일 우려가 큰 ‘회수의문’은 50% 이상, 회수가 불가능한 ‘추정손실’은 10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3월 자영업자 대출 만기연장 종료… 숨은 부실 드러난다

은행들은 코로나19 이후 10조원에 가까운 대손충당금을 쌓아 위험에 대비해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국내 19개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8조6436억원이며, 부실채권(고정~추정손실 여신)은 11조9000억원이다. 대손충당금적립률(부실채권 대비 충당금 잔액)은 156.7%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동기(109.8%)보다 50%포인트(p) 가까이 높아 충분히 대비를 한 것처럼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통계에 착시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충당금 적립액은 이 기간 18조4658억원에서 18조6436억원으로 거의 늘어나지 않았다. 반면 부실채권이 16조8000억원에서 11조9000억원으로 30% 가량 줄어 충당금적립률이 상승했다. 2년여간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고 원리금 상환도 유예해줘 부실채권이 오히려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역설이 일어난 것이다. 부실채권 감소 착시에 은행은 오히려 지난해 충당금 잔액을 7000억원 가량 줄였을 정도다.

금융권에서는 올해 3월 대출만기 연장 등의 지원까지 종료되면, 현재 ‘정상’으로 분류된 대출이 대거 부실채권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의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지원액은 260조원에 달한다.

부동산 혹한기 온다… 월동준비하는 당국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등 자산 가격 하락 역시 충당금으로 방어해야 할 주요 리스크 요인이다. 부동산 관련 대출·투자 등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은 지난해 9월말 기준 2488조원으로 2019년말(2067조원) 대비 20%나 증가했다. 집값 하락, 거래 가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까지 더해지면 부실이 커질 수 있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얼마전 “금융회사가 보유한 부동산 관련 자산에 대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투자손실을 적시에 평가해 손실흡수능력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서영수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달 초 낸 보고서에서 “국내 은행 및 비은행의 충당금 적립률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원리금 분할상환 비중으로 인해 전세계 주요 국가 중 가장 낮은 편에 속해 있다”라며 “부동산 거래량과 가격 하락을 감내할 수 있는 충당금 적립률 상향 조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