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빚으로 버틴 자영업자…금융지원 종료땐 빚 최대 58조 ↑
한국은행 ‘금융안정 상황’ 발표
가계부채 증가폭 다소 감소불구
작년말 기준 1862조 사상 최대
부채보유 자영업 78만가구 적자
27만 가구는 1년 버티기도 허덕
금융지원 일괄중단시 부채 폭증
업종별 단계적 출구전략 추진을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1862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다만 증가폭은 1년전보다 7.8% 오르며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보다 확대되면서 가계의 채무부담은 커졌고, 특히 자영업자의 빚이 크게 늘었다. 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연 10%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빚 증가폭 줄었지만 1862조 사상 최대=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는 지난해 말 기준 1862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규모는 사상 최대지만, 전년 대비 7.8%가 늘며 증가폭은 둔화됐다.

한은은 신용대출 등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대출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율이 하락한 것으로 봤다. 주택거래 감소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주춤하고, 연말 상여금 유입 등 계절적 요인도 영향을 준 것으로 설명했다.

다만 가계빚 증가세 감소에도 채무부담은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73.4%로 추정되면서, 1년 전보다 4.3%p 상승했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45.3%로 추정되는데 이 역시 주가 조정 등으로 금융자산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채무 부담이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신용잔액은 2361조1000억원으로 추정되며 같은 기간 10.7%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가계와 기업 부채를 합한 민간신용은 명목국내총생산(GDP)대비 220.8%로 예상되며, 전년 말 대비 7.1%p나 상승했다.

▶적자가구 78만, 1년 내 유동성 위험 가구 빚 72조원=지난해 말 기준 금융부채를 보유한 자영업가구 중 적자가구는 약 78만 가구(전체 자영업가구의 16.7%)로 추정된다. 가계금융복지조사 기준 이들 적자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177조원(전체 자영업가구 금융부채의 36.2%) 수준으로 집계됐다.

적자가구 중 금융자산으로 적자를 충당할 수 있는 기간이 1년 미만인 유동성 위험가구는 27만 가구, 이들의 금융부채 규모는 72조원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3월말(59조원) 대비 13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한은은 “업종별로는 오미크론 확산으로 매출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더딘 숙박음식업 및 교육 등에서 적자 자영업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시, 적자가구 빚 최대 58조 증가=78만 자영업 적자가구의 빚 177조원은 정부의 대출 등 금융 지원 정책 종료시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이 올해 경기상황과 정부의 금융지원정책 변화 등에 대한 6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해 살펴본 결과, 정부가 자영업 대상 금융지원 정책을 일괄 중단할 경우 적자가구 금융부채는 올 한 해 39~58조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 위험가구의 금융부채도 31~41조가 늘었다.

일부연장을 가정 할 시엔 적자가구 금융부채가 21~39조원 증가하고, 유동성 위험가구 금융부채는 11~17조원이 늘었다. 일괄 연장을 가정했을 땐 적자가구 금융부채가 최대 18조원 증가하고 유동성 위험가구의 빚은 1~10조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앞으로 1년간 적자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경기 변화보다 정부 금융지원 정책 종료 여부가 상대적으로 더 클 것”이라며 “코로나19 금융지원정책이 매출 부진 자영업자의 유동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에 비춰 볼 때, 업권별 업황 및 유동성 상황을 고려하면서 단계적 출구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박자연·성연진 기자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