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크라 사태에 중국 봉쇄 겹치니…글로벌 인플레율 7.4% 급등
국제금융센터, 블룸버그 인용해 분석
중국 성장률도 3%대까지 낮아질 가능성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가운데 중국의 대도시 봉쇄정책으로 중국발(發) 공급망 차질 우려까지 겹쳐 글로벌 인플레율이 7%대까지 급증했다.

16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장기화에 따른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응해 선전·상하이 등 대도시까지 봉쇄하는 등 제로 코로나 정책을 2년 이상 유지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의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전세계 10대 항만 중 중국이 6개를 차지하고 있고, 물동량이 많은 중국내 주요 항구의 운송 일정이 코로나 검사 폭증 등으로 지연되면서 글로벌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세계 1위 컨테이너 물동량을 보유한 상하이항은 운송 효율이 평소 대비 60%에 불과하고, 대기 중인 선박 수 역시 2주전 보다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금융센터 제공]

중국발 공급망 차질 우려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맞물리면서 글로벌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블룸버그가 전 세계 국가들의 CPI(소비자 물가지수) 지표를 가중해 산출한 글로벌 인플레율 중국의 대도시 봉쇄가 본격화한 3월 중순부터 급등, 이달 초에는 7.4%를 기록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봉쇄정책은 글로벌 물가 뿐 아니라 자국의 경제 성장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금융센터는 스탠다드차타드(SC)와 블룸버그 등을 인용, 중국 정부의 지역 봉쇄가 4월 이후에도 이어질 경우 중국 정부의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인 5.5%를 크게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만약 도시 폐쇄가 중국 전역으로 확대될 경우 3%대까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원자재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발 공급망 차질 우려까지 가세하면서 글로벌 물가상승 압력이 가중될 소지가 커졌다”며 “중국 자체의 경제 성장률 전망까지 암울해지는 등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의 부작용이 예상보다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