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브레이크 없는 물가] 5% 육박했지만…수요·환율, 아직도 상방이 열려있다
통계청, 3일 4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4.8% 기록, 13년 6개월만에 가장 높아
‘역기저’ 있었는데도 오히려 상승폭 키워
환율 약세 이어지는데 수입 물가 어떻게
방역 사실상 해제…수요압력도 이젠 충분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5%에 육박했지만, 아직도 상방이 열려있다는 분석이 정부 내에서 조차 나오고 있다.

실제로 공급 측 요인이 아직도 충분히 전이되지 않았고, 환율은 1300원대가 위협 받고 있으며, 임금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악순환은 시작되지도 않았다. 여기에 사실상 방역이 해제되면서 수요 측면 압력도 거세질 전망이다. 연초 정부는 ‘상고하저’, ‘역기조 효과’와 같은 하반기 물가 하락세 전망을 내놨으나, 결과적으로 소수 의견이었던 ‘올해 기조적 물가 상승세’가 맞아 들어가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4.8% 올라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선 뒤 5개월간 3%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3월 4.1%를 기록하며 4%대를 넘어섰다. 그런데 지난달에는 4% 후반으로까지 뛰며 5%에 육박했다.

이번달 물가는 올해 전반을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 같은 수치로 평가됐다. 기저효과 유무 때문이다. 3월까지는 지난해 같은달 물가상승률이 낮아 올해 같은 달 수치가 더 커 보이는 효과가 있었으나, 4월부터는 이같은 현상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사라졌다. 오히려 지난해 4월 물가상승률은 안정목표치인 2%를 0.5%포인트 상회하는 2.5%였다. 역기저효과가 있던 것이다. 그럼에도 4월 물가 상승률은 상승폭을 키웠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하반기로 가면서 역기조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봤고, 우크라이나 사태도 1년 내내 지속될 것이냐는 점에서 의문이 있었는데 지금은 상당기간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당분간 오름세가 둔화할 요인이 보이지 않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연합]

이와 관련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하반기로 가면서 역기조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봤고, 우크라이나 사태도 1년 내내 지속될 것이냐는 점에서 의문이 있었는데 이제는 상당기간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당분간 오름세가 둔화할 요인이 보이지 않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번달 4%대 후반 물가 상승률이 나오면서 올해 물가는 4%대 돌파가 기정사실화 됐다. 이번달 만큼만 유지돼도 올해 평균 물가상승률은 3.9%를 기록하기 때문이다. 오름세가 조금이라도 확대되면 4%를 나타내게 된다.

상방요인은 아직도 충분하다. 생산자물가지수는 3월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8.8% 높아졌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4%포인트 이상 상회한다. 소비자물가로 전이될 공급요인이 아직도 남았다는 것이다. 미국은 우리나라만큼 차이가 크지 않다.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했고,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1.2% 올랐다. 2.7%포인트 차이에 불과하다.

환율은 연일 원화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생겨난 긴축 경계감이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1260원대로 올라섰다. 미국 달러화 가치가 거의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은 것이다. 1300원대를 넘어설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원화약세가 이어지면 수입물가 전반을 끌어 올린다.

지금까지는 공급 측면에서 물가를 상승시켰다면, 앞으로는 수요 측면에서 상방압력이 거세질 가능성도 충분하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지면서 나타난 변화다. 실제로 서비스 물가는 4월 3.2% 상승했다.

어 심의관은 “기상조건 악화로 곡물가격이 상승하고 (코로나로) 국제 이동성도 제약된 상황 속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일어났다”며 “여기에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겹치며 대외적 요인을 가늠하기 어려워졌고, 석유류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리고 두번째로 중요한 것이 이제는 방역이 사실상 해제됐다는 점”이라며 “서비스 물가 상승폭이 둔화될 가능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