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식어버린 2030 주택 매수 열풍…서울아파트 매입 비중 역대 최저[부동산360]
6월 서울 아파트 2030 매입비중 24.8%
2019년 1년 해당 통계 집계한 이래 최저
대출금리 줄인상에 매수심리 쪼그라든 영향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업소의 아파트 매물정보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그간 부동산 시장을 주도해온 2030세대의 주택 매수 열풍이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매수세가 주춤하더니 6월에는 아파트 매입 비중이 서울 기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주택가격 고점 인식에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매수심리가 쪼그라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출의존도가 높은 젊은 층일수록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6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01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 거래량은 449건으로 전체의 24.8%를 차지했다. 이는 해당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9년 30% 안팎에 불과했지만 2020년 2월 36.3%로 35%를 처음 넘어섰고 같은 해 8월(40.4%) 40%대로 확대됐다. 이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매수 행렬이 이어지며 지난해 7월에는 44.8%까지 치솟기도 했다. 줄곧 40% 안팎을 기록했던 이 수치는 올해 5월 37.4%로 내려앉았고 이듬달에는 30% 선까지 무너졌다. 월간 기준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20%대를 기록한 건 2019년 6월 이후 3년 만이다.

시선을 전국으로 넓혀도 젊은 층의 아파트 매입 행렬은 크게 줄었다. 같은 달 전국의 아파트 매매거래 2만8147건 가운데 30대 이하 매매 건수는 7614건으로 비중은 27.1%였다. 2020년 5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올해 3월부터 줄곧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고금리와 경기침체 우려, 추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주택 매수세가 약해졌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젊은 층의 경우 통상 주택 구매 시 대출을 많이 받는 경향이 큰 만큼 금리 인상에 따른 압박감이 더욱 컸을 것으로 보인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금리가 언제까지 얼마나 오를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에 아파트 매수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2030세대의 경우 늘어난 대출이자 부담에 집값까지 떨어지면 큰 곤경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일각에선 이달부터 생애 최초 주택구매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최대 80%까지 확대되고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늘어남에 따라 30대 이하의 주택 매수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이달 중 ‘250만가구+α’ 주택공급 계획을 발표하면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수요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강화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데다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워낙 커지고 있어 젊은 층의 주택 구매가 크게 활성화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세제 및 대출 정상화 방안과 용산 정비창 부지 개발 계획 등의 호재에도 금리 인상, 물가 상승 등의 거시경제 변수들이 주택 소비심리 위축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분위기”라며 “당분간 거래 활성화 효과는 다소 제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우병탁 신한은행 WM컨설팅센터 부동산팀장도 “집값이 약세로 돌아선 데다 하반기에도 금리 인상이 예상된다”며 “대출 규제가 풀려도 2030세대의 매수세가 크게 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eh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