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 정부 들어서면 나아질 줄 알았는데…싸늘하게 식은 분양시장 [부동산360]
사면초가의 건설사
분양가상한제 개선폭 미미
원자잿값으로 원가부담 가중
금리폭등·집값하락으로 수요 위축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의 아파트 밀집지역.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원자재 가격까지 올랐는데 상한제에 걸려 있어 분양가를 더 받고 싶어도 받을 수 없으니 분양가상한제가 없어지거나 관련 규제가 바뀔 때까지 기다려보자는 사업장이 꽤 있는데 올해 들어 분양을 포함한 부동산경기가 계속 안 좋아지고 있어 그야말로 진퇴양난입니다.”(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

주택분양시장 분위기가 싸늘하게 식으면서 건설업계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특히 분양가 책정 문제로 분양 일정을 늦췄던 사업장을 두고는 속앓이를 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지난 6월 분양가상한제 개선안을 내놨지만 시장의 기대에는 못 미쳤는데 정부의 규제 완화를 기다리는 동안 분양 전망은 악화일로를 걸었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는 브랜드파워와 적극적인 마케팅을 앞세워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는 방침이지만 중소 건설사들은 이렇다 할 타개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분양가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분양 일정을 미뤘던 단지들이 속속 분양에 나서고 있다. 부동산R114 집계를 보면 이달 들어서만 전국에서 일반분양 기준 총 2만5271가구에 대한 분양이 진행됐다. 올해 상반기 분양물량이 9만2710가구로, 월평균 약 1만5000가구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60% 이상 많은 수치다. 분양을 연기했던 단지가 하나 둘씩 나오기 시작한 셈이다.

다만 분양에 나서는 건설사의 발걸음은 가볍지 않다. 분양 전망이 밝지 않아서다. 지난해 수십, 수백 대 일까지 치솟았던 경쟁률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고 미달이 나는 경우도 허다한 데다 다수의 사업장이 완판에 실패하고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는 등 미분양 적체까지 늘어나고 있다. 지방 사업장의 경우 완판까지 적게는 6개월에서 1년 정도는 예상해야 하는 분위기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귀띔했다.

실제 주택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국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61.3까지 떨어졌다. 철옹성 같았던 서울(68.2)마저 60 선으로 내려앉았고 경기, 인천, 대구 등은 40 선을 기록했다. 분양시장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매우 크다는 의미다. 여기에 올해 3월부터는 전망 대비 실적이 크게 하회하고 있어 이달 실적도 비슷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에선 괜한 기대감에 분양 일정을 미뤘던 볼멘소리까지 나온다. 분양시장이 좋을 때 내놨더라면 미분양 신세가 될 일이 없지 않았겠냐는 것이다. 여기에 분양가상한제 개선에 따른 분양가 인상폭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업계가 불만을 가지는 대목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조합과 HUG(주택도시보증공사)의 눈높이가 맞지 않다 보니 분양가 책정에 만족을 못해 분양을 미루는 경우가 그간 많았다”면서 “입지가 좋은 재건축 등은 걱정이 없지만 대출금리 압박으로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아 입지가 안 좋은 곳은 걱정되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분양가상한제 개선안 발표로 불확실성은 해소됐는데 막상 주택을 공급하려고 보니 시장 환경이 완전히 바뀌었다. 수요가 상당 부분 이탈하면서 축소됐고 금리인상 영향으로 공급자로서는 비용도 원하는 만큼 올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입지나 미래 가치가 있는 곳으로는 수요가 있겠지만 전반적으로는 분양하기 어려운 환경이 됐다”고 말했다.

eh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