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4년부터 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 고용통계 나온다
경제활동인구조사 표본 규모 확대…고용정책 자료로 활용
고령층 평균 73세까지 근로 희망…정부, 정년 연장 논의 "신중해야"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2024년부터 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의 고용 상황이 통계로 나온다. 이는 저출산·고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이 점점 더 올라가는 데 따른 조치다.

15일 통계 당국에 따르면 통계청은 2024년 1월부터 고용 통계 연령 구간을 세분화해 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의 고용 현황도 발표하기로 했다.

현재 통계청 고용 동향에서 고령층 근로자는 65세 이상·70세 이상으로만 분류돼 있는데, 앞으로는 70∼74세·75세 이상 초고령 근로자를 따로 분류하겠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이를 위해 지난 7월부터 경제활동인구 조사 표본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조사로 수집된 초고령자 고용 동향은 향후 정부 정책을 뒷받침할 자료로 활용하기로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초고령 근로자 또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세부적인 고용 통계가 매월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조사 고령층(55∼79세) 부가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5월 기준 고령층 인구(1509만8000명)는 처음으로 1500만명을 넘어섰다.

이들 가운데 68.5%는 장래에도 계속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이들의 평균 근로 희망 연령은 73세로 집계됐다. 이미 70세를 넘긴 70∼74세 고령층의 경우 79세, 75∼79세는 82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각각 희망했다.

그러나 고령층 인구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평균 연령은 49.3세로 집계됐다. 고령층 인구는 평균적으로 73세까지 일하고 싶어 하지만, 49세에 주된 일자리를 그만두게 된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고령화가 심화하고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인구 절벽'이 현실화하자 정부도 고령층 고용을 위한 정책 검토에 착수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고령자 계속 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정년 연장이나 정년 폐지, 재고용 등의 방안을 모두 열어두고 검토하기로 했다. 다만 정년 연장의 경우 청년층 고용 상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는 다소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방송기자 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고령화 시대에 고령자가 계속 고용되고 더 일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선 많은 분이 비슷한 생각이겠지만, 정년 연장 문제로 접근하면 청년 고용과 임금 체계 문제가 얽힌다"고 답변했다. 이어 "이런 문제들 때문에 고령자 계속 고용을 정년 연장으로 쉽게 접근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