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OPEC+서 감산 가능성
공공요금·농축수산물도 올라
외식·가공식품 가격도 상승세
“올해 물가상승률 5% 초반”
경기부양 준비해야 하는데…
아직도 고물가, 떨어지는 정책 여력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고물가 상황이 좀처럼 진정되지 않으면서 소비 위축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가상승률은 벌써 4개월째 5~6%대를 유지했고, 당분간 물가는 5%대를 지속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고, 공공요금도 이달부터 오른다. 일부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하지 않고 있고, 가공식품·외식 가격도 이에 시나브로 올라갈 전망이다.
정부 대응 여력도 떨어지고 있다. 하반기 침체를 대비해 정책 중심을 물가에서 경기로 옮겨야 한다는 의견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지만, 물가가 5% 이상을 나타내는 상황에서는 실행이 어렵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기료는 전년동월대비 15.3%, 도시가스는 18.4%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이에 14.6% 올랐다. 기여도로 따지면 0.48%포인트다. 전월대비로는 7%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이 시작하면서 정부는 인위적으로 공공요금을 억눌렀다. 그러나 점차 치솟는 원자재 가격 속에서 더이상 가격을 방어할 수 없는 모양새다.
정부는 10월부터 주택용 전기요금을 ㎾h당 7.4원, 가스요금을 메가줄(MJ)당 2.7원 인상한다. 전기요금은 5.7%, 가스요금은 15.9% 오른다. 월평균 307㎾h를 사용하는 4인 가구의 전기료 부담은 기존 3만9390원(8월 기준) 대비 월 2270원(5.7%) 증가한다.
환율도 물가를 오르게 하는 요인이다. 달러강세로 원화가치가 떨어지면서 수입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수입쇠고기는 전년동월대비 12.7%, 수입승용차는 6.5% 상승했다.
특히 일부 농축수산물은 가격 오름세가 강화하고 있다. 배추는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95.0%, 무는 91.0% 상승했다. 특히 배추는 전월비로 봐도 32.2% 올랐다. 가격 오름세가 더 강화하는 셈이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잡히지 않으면서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도 덩달아 뛰고 있다. 외식 물가는 9.0% 상승했는데, 이는 1992년 7월(9.6%) 이후 30년 2개월 만에 최대치다. 생선회(9.6%), 치킨(10.7%) 등에서 상승을 견인했다. 가공식품 물가도 8.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도 물가가 불확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물가 상승폭이 6%대에서 5%대로 내려온 것은 석유류 가격 오름세가 주춤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음달 석유류 가격이 다시 올라갈 가능성이 생겼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10월부터 ‘OPEC(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의 감산 결정에 따른 석유류 가격이 다음 달 물가 상승 폭을 결정하는데 크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환율 상승세에 따른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있고 전기요금·도시가스 요금 인상 등 상방 요인이 있어 물가 오름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9월까지 누계된 소비자물가가 5.0%다"면서 "이런 흐름을 유지하면 연간 물가상승률은 5% 초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정부 대책에도 비상이 걸렸다. 하반기 경기침체를 대응하려면 물가 안정이 선제적 조건인데, 9월까지 5%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가가 5%대를 유지하면 정책 기조를 물가 안정에서 경기 부양으로 옮겨올 수 없다.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재 경제정책은 물가를 낮추는 데 가장 방점을 찍고 있다”며 “10월쯤 물가 상승세가 꺾이게 된다면 이후에는 경기회복 문제에 점차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는 “9월 물가는 국제유가 하락, 정부의 정책 노력 등으로 2개월 연속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이 축소되며 5%대 흐름을 기록했지만, 10월은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는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급, 에너지 가격 변동성 등 물가 관련 주요 요인들을 지속 점검하면서 적기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