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업계 최고금리 타이틀 경쟁...금융당국 “자제하라” 경고 메시지
시중은행 4~5%대 예·적금 출시
저축은행, 자금이탈로 수익성 악화
대출금리 올려 만회 소비자만 피해

금융권이 경쟁적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나서자 시장 과열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며 시장 안정에 나섰다. 시중은행은 물론이고 이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과 인터넷뱅킹까지 인상 행렬에 가세하면서 하루 이틀만에 ‘업계 최고금리’ 타이틀을 뻿고 뺏기는 등 과열 조짐을 보이자 이를 차단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각 저축은행에 과도한 예·적금 금리경쟁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메시지는 수신의 변동성 확대와 금융사의 자금조달 수요에 당국이 적기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특별한 조처를 한 것은 아니고 업계와 수시로 시장 상황에 대한 의견청취·교환의 차원”이라고 말했다.

‘과도한 수신경쟁을 자제하라’는 메시지는 지난달 27일 금융당국이 시장안정조치를 발표한 이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전달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예대율(저축은행은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의 비율) 규제를 6개월간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저축은행은 예대율을 100% 내로 맞춰야 한다. 올해 기업대출 비중을 늘리며 대출을 늘렸던 저축은행들은 연말을 앞두고 예대율을 맞추기 위해 수신금리를 경쟁적으로 올리며 예금잔액 늘리기에 나섰다. 이에 당국은 예대율을 110%로 올려 저축은행들의 수신부담을 완화하겠다는 게 이번 완화 조치의 목적이다.

저축은행들은 다소 숨통이 트였지만, 수신경쟁은 여전하다. 저축은행들이 고금리 예·적금 특별판매(특판)에 나서면서 실제 저축은행의 수신금리 경쟁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2.37%였던 저축은행 예금 평균금리는 1분기 2.51%, 3분기 3.07%로 상승하며 10월 말에는 5%를 넘어섰고, 11월 들어서도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저축은행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기준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시중은행의 금리인상의 영향이 크다.한국은행은 1월 1.25%이던 기준금리를 현재 3%까지 올렸다. 이달 24일 예정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빅스텝(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밟을지 아니면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밟을지를 놓고 관측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어느 스텝을 밟든 기준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이에 더해 시중은행들은 금리가 4~5%에 달하는 예·적금 상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했다.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경쟁력이 작용할 여지가 줄어든 셈이다. 업권별 시장 차별화가 무색해지면서 저축은행 계좌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빠르게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이는 저축은행 간 고객 유치 성격도 없지 않다.

자금 상황이 그나마 양호한 대형사들은 수신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 조달 비용(예·적금 이자 지급분)을 감당할 수 있지만, 영세한 중소형 저축은행은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금리 인상 기조에 동참하지 않으면 당장 자금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수익 악화가 계속 되면 저평가된 자산 1조원 규모의 저축은행을 인수하려는 기업들이 매물 등 시장 상황을 에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경쟁이 업계 내 자연 구조조정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무엇보다 이처럼 과도한 수신금리 경쟁은 결국 금융소비자들의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진다. 비싼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면 수익을 위해서 대출금리도 올릴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이번 금융당국의 제동으로 당분간 저축은행의 수신경쟁은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악재를 앞두고 있어 업계 과당경쟁이 재점화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태형 기자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